서울시, 택시 대대적 경영실태조사… 파업 뒤끝?

입력 2012-07-11 22:22

서울시가 시내 모든 택시회사를 대상으로 경영실태조사에 나서자 택시업계가 ‘숨통 조이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시내 택시회사법인 255곳 전체에 대해 경영실태조사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이날부터 18일까지 택시회사들을 직접 방문해 조사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 9~10일 각 회사에 직원교육일지, 운행현황 같은 기본 자료는 물론 결산서,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월급명세서, 4대보험 납입내역서 등 경영 전반에 대한 자료를 모두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시는 이번 조사가 지난달 2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택시업계 총파업에 따른 후속조치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택시업계는 경영난과 운전자 생계곤란을 호소하며 택시요금 현실화, 감차보상대책 등을 요구했다.

시 도시교통본부 관계자는 “택시업계가 대규모 집회를 열고 경영난을 호소한 이상 업계 주장에 관한 사실관계 파악은 시의 의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경영상태가 어려운 회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조사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적발되면 그에 해당하는 조치도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택시업계는 시의 대대적인 실태조사에 반발하면서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모 택시회사 관계자는 “택시는 대중교통이 아니기 때문에 경영지원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던 서울시가 이제 와서 이러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조사 하루 전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게 불시 수색과 뭐가 다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는 최근 택시업계에 차량 위치정보가 모두 기록된 ‘디지털 운행기록계’ 기록 일체를 요구해 업계 반발을 사기도 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