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은하레일 사고 원인은 ‘부실관리’

입력 2012-07-11 19:17

인천 월미은하레일이 잇단 안전사고로 개통이 지연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설계에도 문제가 있지만 시공사 관계자들이 금품을 받고 부실한 공사관리를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 중부경찰서는 월미은하레일 공사 과정에서 하청업체로부터 금품을 챙긴 혐의(업무상 배임) 등으로 현장소장 최모(49)씨와 책임감독관 남모(46)씨 등 시공사 관계자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이들에게 금품을 준 하청업체 대표 정모(51)씨 등 하청업체 관계자 2명을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최씨는 2009년 5월 25일 월미은하레일 공사와 관련, 하청업체 5곳에 공사대금을 부풀려 지급한 뒤 돌려받는 수법으로 11차례 8500만원을 받았다. 최씨는 부적격 하청업체를 봐주거나 공사 과정에 편의를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남씨는 하청업체에 감독 편의를 제공한 대가로 5000만원을 받고, 또 다른 하청업체의 공사대금을 부풀려 지급해 주는 대가로 3000만원을 받는 등 모두 8000만원을 챙겼다.

인천교통공사가 총 사업비 853억원을 들여 건설한 월미은하레일은 인천역∼월미도 문화의거리∼월미공원을 순환하는 6.1㎞ 구간에 건설된 모노레일로 당초 2009년 7월 개통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험운행 중 안전사고가 잇따라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