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체포동의안 부결 파문] “야당은 유죄, 여당은 무죄” 野 방탄표결 집중포화
입력 2012-07-12 00:36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에 대한 11일 체포동의안 부결 사태가 여당 원내지도부 해체로 이어졌다. 특히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게까지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대선 정국을 강타하고 있다. 여당 원내지도부의 공백으로 법정 개원일을 27일이나 넘겨 문을 연 국회가 다시 마비될 위기에 처했다는 비판도 쏟아진다.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이한구 원내대표의 사퇴 이유로 “이렇게 찬성표가 적으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리더십에 한계를 느끼고 부결 직후 사퇴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강창희 국회의장까지 사퇴를 만류했지만 안 됐다. 이 원내대표는 본회의 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일부 의원들이 동의안 부결을 주장하자 “문제가 있지만 최대한 당이 살 수 있는 방향으로 판단해 달라”며 가결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원내지도부 총사퇴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이 개원 전부터 국회의원 특권 포기를 약속해 왔다는 점에서 여론의 질타는 불가피해 보인다. 새누리당은 이번 사태 불똥이 전날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박 전 위원장에게 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친박근혜계 중진 의원인 이 원내대표가 총사퇴 카드를 서둘러 꺼낸 것도 결국엔 박 전 위원장 보호를 위한 긴급조치라는 해석이다.
박 전 위원장 경선캠프는 발칵 뒤집혔다. 평소 대국민 약속을 중시하는 박 전 위원장 이미지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됐다는 반응이다. 캠프 관계자는 “(박 전 위원장이) 오후 청주로 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부결 소식을 전해 들었다. 아무 말 없이 묵묵히 듣기만 했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그때부터 다들 난리가 났다. 상황의 심각성을 잘 알고 있는데 어떡해야 하느냐”고 기자에게 반문하기도 했다.
야당은 이런 점을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체포동의안 부결 직후 민주통합당은 논평을 통해 “새누리당이 국민을 배신했다. 여당은 무죄, 야당은 유죄냐”고 공격했고 통합진보당은 “어떤 원칙도 어떤 명분도 없었다”고 몰아붙였다.
민주당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현안이 산적해 있는 와중에 총사퇴함으로써 국회 의사일정이 마비되게 생겼다. 개원 지연을 두고 ‘무노동 무임금’이라며 세비 반납을 떠들더니 이제 어떻게 책임질 거냐”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안에서도 “출범한 지 두 달밖에 안됐는데 대책 없이 사퇴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불만이 터졌다. 새누리당은 밤에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 원내대표의 사의를 반려하는 방안 등 다양한 사태 수습 대책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13일 의총을 열기로 했다.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