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혁신도시 효과’ 반쪽 되나… 지방 기피·인프라 부족에 입주 예상 인원 9000명에 그쳐
입력 2012-07-10 21:54
참여정부가 수도권 집중현상 해결책으로 추진한 진주혁신도시가 ‘반쪽 도시’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이전공공기관 대부분이 산하기관이나 연구소, 협력업체와 함께 이전하지 않고,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도 기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남도에 따르면 진주혁신도시 11개 이전공공기관의 산하 기관 및 협력업체 298곳 중 55곳만 ‘5년 내 진주혁신도시 이전 의사’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들 산하 기관·협력업체의 이전은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얼마든지 계획 변경이 가능하다.
이들 이전 업체들은 자동차부품, 바이오, 지능형 홈 등 중소 협력업체가 대부분이어서 고용창출 등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크지 않은 편이다. 정작 부가가치가 높은 산하 기관과 연구소 이전은 전무하다.
가족동반 이주 인원도 당초 기대에 훨씬 못 미친다. 직원들 가족은 5426명인데 전체 이주 인원은 3267명이어서 직원 1명당 평균 이주 인원은 1.6명에 그치고 있다. 자녀는 물론 부부가 함께 이주하지 않는 것이다. 도의 조사를 종합하면 이전인원과 동반 가족, 협력업체 직원을 다 합쳐도 이주 인원은 9000여명에 불과하다. 이는 정부가 당초 예상한 입주 인원 4만여명의 22.5% 수준이다.
따라서 2014년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된다고 해도 진주혁신도시의 상당수 면적이 나대지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런 현상은 이전기관 직원과 그 가족의 지방 이전 기피가 가장 큰 요인이다. 하지만 인프라 부족도 원인으로 꼽힌다.
경남도와 도교육청은 진주 공공기관 입주에 대비해 7개교(초등 3곳, 중·고교 각 2곳)를 설립키로 했었다. 하지만 현재 초등 1개교만 2014년 개교할 예정이다. 따라서 이전기관 직원들의 중·고교 자녀들은 멀리까지 통학해야 할 형편이다.
도와 진주시는 이전기관 중·고교 자녀에게 장학금 100만원을, 가족동반 직원에게 이주정착금 100만원을 지원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마련했지만 실효성은 미지수다.
경남도 관계자는 “산하 기관·협력업체의 이전 부진은 혁신도시 건설효과를 반감시킨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면서 “산하 기관·협력업체와 인원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