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재개발·재건축 수주 ‘고개 절레’
입력 2012-07-10 19:26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던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이 찬밥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수익성 저하와 조합원들과의 갈등으로 과거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던 대형 건설사들도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속속 발을 빼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재건축 시공사 선정을 앞둔 서울 고덕 주공2단지는 GS건설에 이어 대우건설마저 입찰 불참을 결정했다. 지난 5월 현장설명회에 11개 업체가 참여해 치열한 수주전이 예상됐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서로 발을 빼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조합원들 요구대로 무상지분율을 제공할 경우 사업성이 떨어지는 데다 공사비 대신 미분양 아파트를 가져가라는 ‘대물변제’ 조건이 특히 수용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평균 163%의 무상지분율 제공을 요구했던 인근 고덕 주공7단지는 롯데건설이 수주했지만 본계약이 미뤄지고 있다.
건설사들은 과거보다 ‘깐깐한 잣대’를 들이대며 도시정비사업 참여 규모를 줄이고 있다. 도급순위 1위 현대건설은 지난해 2조원 규모 도시정비사업을 수주했지만 올 상반기에는 현재 3880억원 수주에 그치고 있다. 수도권 도시정비사업을 휩쓸다시피 했던 삼성물산 건설 부문은 올해 들어 재개발·재건축 신규 수주가 단 한 건도 없다. GS건설은 당분간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가급적 참여하지 않고 유망 사업지역만 엄선해서 살펴보기로 내부 지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인기 높은 중소형 주택이 조합원들에 의해 선점되면서 일반분양 물량이 대부분 비인기 상품인 중대형 중심인 데다 분양가 산정 등과 관련해 조합원과 의견이 맞지 않아 사업이 지연될 경우 금융비용이 증가할 수 있어 관련 사업 수주를 꺼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다 뉴타운 출구전략, 재건축 아파트 소형비중 강화, 한강변 초고층 아파트 건설 억제 등 서울시의 주택정책 변화 기조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도 건설사들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피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