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교협 교수 4명, 민주당 정책의장 만나 ‘서울대 통폐합’ 공약 요청

입력 2012-07-11 01:17

민주통합당 이용섭 정책위의장과 서울대 교수들이 ‘서울대 폐지론’으로 잘 알려진 ‘국립대 통합안’을 논의하기 위해 11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는다.

이번 회동은 서울대를 중심으로 한 국립대 통합안에 찬성하는 서울대 내부의 입장이 정치권에 처음 전달되는 자리여서 향후 민주통합당의 교육관련 대선 공약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11일 오전 10시30분에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 협의회’ 소속인 서울대 영문과 김명환 교수 등 4명과 국회에서 만나 ‘국립대 통합안’에 대한 조언을 들을 예정이다. 이날 만남은 이 의장이 먼저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 등은 민주통합당에 서울대를 포함한 대학 개혁안이 대선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또 이들은 국립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성 방안을 찬성하며 구체적인 재정마련안이 담긴 실행계획까지 만들 수 있도록 조언할 예정이다.

이 의장과의 회동에 참석 예정인 서울대 서양사학과 최갑수 교수는 “(서울대 개혁안으로) 그동안 주장해 온 서울대 법인화 반대 요구에 그치지 않고 (서울대를 포함한 국립대 통합안이) 구체적으로 민주당의 대선 공약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50여명의 민교협 소속 교수들의 생각도 서울대 개혁이라는 큰 틀에서는 같다”고 말했다.

이들의 요구안에는 국립대 통합안 외에도 고교 평준화 확대와 중등교육개혁 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서울대 폐지론’이나 ‘대학평준화’라는 프레임을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도 포함될 예정이다.

그러나 서울대 본부는 정치권의 국립대 통합안 논의와 관련해 “구체적 대응을 자제 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일부 교수들이 서울대를 중심으로 한 국립대 통합안과 관련해 정치권과 교감하는 것에 대해서는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 한 보직 교수는 “서울대 폐지론은 이슈화 시킬수록 불리하다”고 말했다.

교수협의회도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교협은 11일 오전에 상임이사회의를 열어 서울대 통폐합안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교협은 민교협과는 달리 서울대를 중심으로 한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안의 전면백지화를 요구할 방침이다. 교수협의회 회장인 호문혁 법학대학원 교수는 “서울대 폐지 대신 고등교육 자체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