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학연구용 포경 허용 방침” 발표 이후… 울산지역, 고래잡이 재개 놓고 논란 가열

입력 2012-07-09 21:45

최근 정부가 발표한 포경 허용 방침을 둘러싸고 어업인과 환경단체 간의 갈등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울산 지역여론도 갈라지는 상황이다.

9일 남구 등에 따르면 평소 솎아내기식 포경 허용을 주장해온 울산시 남구와 장생포 지역 주민들은 정부의 이번 방침을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반면 울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일부 환경단체들은 반대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파나마시티에서 열린 국제포경위원회(IWC) 연례회의에서 일본처럼 과학연구용 포경을 허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국제사회 협약에 따라 1986년 고래잡이를 법적으로 금지해온 지 26년 만에 사실상 허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남구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포경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다각적인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남구는 우선 국내에서 혼획 또는 좌초되는 고래를 한번에 처리하기 위해 50억원을 들여 남구 장생포에 고래위생처리장을 설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 내년까지 정부와 협의해 3∼5척의 포경선을 구입하는 등 과학적 조사를 위한 포경에 적극 대비할 계획이다. 내년 1월까지 포경에 대한 과학조사계획서를 작성해 IWC에 제출해야 되기 때문이다.

김두겸 남구청장은 “정부의 포경계획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솎아내기식 포경’을 통해 고래도시 남구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장생포 일대 주민들과 어민들도 ‘포경 선언 적극 지지’ 등의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장생포동 일대에 내거는 등 잔뜩 들뜬 분위기다. 장생포동 어민 김정주(58)씨는 “새우나 꽁치, 플랑크톤 등을 먹어치우는 고래의 개체가 줄면 다른 어족 자원이 늘어나 어민들의 수입도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원도내 9개 수협도 정부 방침에 대해 “고래 보호가 어업인의 생계유지보다 더 중요할 수는 없다”며 “강원도 수협 및 조합원(어업인) 일동은 정부의 포경 허용 방침을 적극 지지하며 환영한다”고 밝혔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정부 방침에 반대하고 나섰다. 특히 울산환경운동연합은 “2009년 여론조사에서 국민 67.9%가 포경에 반대했다”면서 “바다 생태계 보호를 위해 포경 금지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고래고기를 사고파는 것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