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날 대권 꿈 접은 여야 잠룡 3인] 정몽준 “흔들림없이 간다”
입력 2012-07-09 19:05
여야 잠룡 3명이 오랫동안 키워온 대권의 꿈을 접었다.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은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이 끝내 무산되자, 9일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결국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 추대식과 다름없이 치러질 전망이다. 민주통합당 정동영 상임고문도 당내 경선 불출마 기자회견을 했다. 2007년 대선 당시 여당 후보였던 그가 이번엔 ‘정권교체를 위한 백의종군’을 택했다. 지난 4년 반 동안 재기의 발판을 만들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으나 시대의 변화는 그의 편이 아니었다. 한때 이재오계, MJ계, DY계 등 자신의 이름을 딴 계파를 이끌던 실력자들이 대선이라는 최고의 승부처에서 링 밖으로 퇴장했다. 향후 대선 국면과 정치판에서 이들이 새로운 역할을 찾아낼지 주목된다.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의 대망이 2002년에 이어 다시 좌절됐다. 정 전 대표는 대선후보 경선 룰 개정을 줄기차게 주장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그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지도부에 대한 분노를 감추지 않았다.
정 전 대표는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이 절대적 지분을 가진 1인자를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모습은 당내 민주주의 파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이런 상황에서 경선 참여는 권위주의 시대로의 회귀를 묵인하고 방조하는 일이어서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1987년 민주화 이후 4반세기가 지난 시점에서 정당 독재가 미화되고 찬양되는 시대착오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새누리당과 보수 세력이 재집권해야 한다는 주장은 오히려 당을 죽이고 보수를 죽이는 길”이라고 일갈했다.
경선을 통해 당 후보가 선출되면 지지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엔 “당 대표를 역임한 사람으로서 당원의 도리를 다할 것”이라며 “다만 어떻게 하는 것이 당과 나라에 도움이 되는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행보에 대해선 “탈당할 생각은 없다. 정당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세력에 맞서 흔들림 없이 저의 길을 가겠다”고 했다. 박 전 위원장이 당내 민주화 노력을 보이지 않을 경우, 반(反)박근혜 행보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한 측근 의원은 “정 전 대표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이를 위해 다시 당 대표에 도전할 생각도 있다”고 전했다.
정 전 대표는 2002년 대선 때도 출사표를 던지며 부친인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에 이어 대권을 꿈꿨다. 당시 대한축구협회장이던 그는 ‘월드컵 4강 신화’의 바람을 타고 여론조사 지지율이 1위로 치솟기도 했다. 그러나 민주당 노무현 후보와의 단일화로 꿈을 접어야 했고, 대선 전날밤 단일화 파기를 전격 선언하며 거센 논란에 휘말렸다.
1988년 총선에 무소속으로 당선돼 국회에 입성한 정 전 대표는 내리 7선에 성공한 현역 최다선 의원이다. 90년 민자당에 입당해 1년쯤 몸담은 뒤 대선을 준비하던 아버지를 따라 통일국민당에 들어갔다.2007년 대선을 앞두고 이명박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에 입당, 최고위원과 대표를 맡는 등 여권 주류로 자리를 잡는 듯했다. 그러나 박 전 위원장과 각을 세우다 다시 비주류의 길을 걷게 됐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