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형님문제’ 사과할까 안할까
입력 2012-07-08 19:05
검찰이 이상득 전 의원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이 친형의 비리 혐의에 어떤 입장을 밝힐지 주목되고 있다. 직접 대국민 사과에 나설지, 사과한다면 언제 어떤 수위로 할지 청와대의 고민이 시작됐다.
청와대 내부에는 대통령의 사과에 부정적인 기류가 있다. 안 그래도 심각한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친형의 비리를 대통령이 대신 사과한다는 건 맞지 않다. 품격에도 어울리지 않는 일”이라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 역시 “대통령이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느냐. 대통령에게 (이 전 의원이) 어떤 형님이냐”고 반문했다. 인생의 멘토와 같은 형이어서 이 대통령이 매우 조심스러워한다는 뜻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아직 대통령께서 (사과 문제에 대해) 일절 말씀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핵심 인사는 “현재 진행 중인 수사에 대해 언급하긴 어렵지만, 수사가 마무리되면 국민에 대한 사과 형식의 입장 표명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직 (사과) 계획이 없다”는 게 청와대의 공식 설명이지만, 내부에선 “어떤 형태로든 입장 표명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우세해 보인다.
사과할 경우 시점은 검찰의 저축은행 수사가 마무리되는 때일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이 전 의원이 구속되더라도 사건 전반의 윤곽이 나오는 기소 시점까지 기다려 이 대통령이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크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크게 세 차례 대국민 사과를 했다. 집권 첫해인 2008년 5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가 벌어지자 “불필요한 오해를 샀다”며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지난 1월 신년연설에서는 내곡동 사저 문제를 언급하며 “국민들에게 송구스럽다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고, 다음 달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선 “내 주위에 비리를 저지른 사람이 있다. 국민께 할 말이 없다”며 측근비리 문제를 언급했다. 이처럼 이 대통령의 사과에는 ‘사과’란 표현이 들어가는 경우가 별로 없어 이번에도 간접적인 언급에 그칠 확률이 높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