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 어쩌나… ‘묵은 악재 털기’ 해법 주목

입력 2012-07-06 22:09

오는 10일 대선 출마 선언을 앞둔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수장학회 문제를 어떻게 풀지 주목되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측은 “정수장학회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선을 긋지만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계속 쟁점화하고 있다. 대선 가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정수장학회 문제는 경선캠프의 이상돈 정치발전위원이 “박 전 위원장이 정수장학회 문제를 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다시 불거졌다. 그는 최근 라디오방송 등에서 ‘박 전 위원장 측이 고(故) 김지태(정수장학회 전신인 부일장학회 설립자)씨 유족들과 접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노력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발언은 즉각 파장을 몰고 왔다.

김씨 유족은 “(박 전 위원장 측에서) 연락 온 적이 없다”며 발끈했다. 김씨 차남 영우씨는 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소유권을 돌려받자는 게 아니라 선친 이름으로 장학회 명칭을 바꾸고 일부 이사진 교체를 희망한다”며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정권 때인 1962년 부산지역 기업인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헌납받아 설립됐다. 그러나 참여정부 시절 ‘정수장학회는 국가 권력의 위법한 행사에 의해 강탈된 것’이라고 인정된 뒤 야권의 단골 공격 소재가 됐다. 박 전 위원장은 95년부터 맡고 있던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에서 2005년 3월 물러났다.

이 때문에 친박계 일부에서는 대선에 부담이 되니 “털고 가자”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은 사회 환원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캠프 관계자는 “박 전 위원장은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뒤 정수장학회와 아무 연결고리가 없다”며 “캠프에서 공식이든 비공식이든 논의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상돈 위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방송에서 밝힌 내용은) 원론적 얘기”라고 했다.

민주통합당은 정수장학회 문제를 집중 제기할 계획이다. 당 소속 초선의원들은 박 전 위원장의 대선 출마 선언일인 10일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를 초청, 정수장학회 관련 강연을 열 계획이다. 배재정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박 전 위원장을 상대로 공개 질의에 나설 예정이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