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정치인 ‘위원장’ 놓고 충돌

입력 2012-07-05 22:32

서울시의회와 경기도의회에서 하반기 교육위원회 위원장 선임을 둘러싸고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다수당을 차지하는 민주통합당 소속 의원들이 위원장직을 차지하려는 데 대해 정당 소속이 아닌 교육의원들은 교육전문가인 자신들에게 위원장을 배정해야 한다고 맞서기 때문이다.

경기도의회 교육의원들은 지난 2일 의회에서 천막농성에 들어가며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이달로 예정된 교육상임위 모든 일정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농성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반기 민주통합당 지도부가 후반기 교육위원장은 교육의원에게 양보하겠다고 암시했음에도 후반기 지도부가 이를 무시한 채 의총에만 묻겠다는 책임회피적인 태도를 보여 배신감을 느낀다”고 성토했다. 이어 “교육계 의사와 반하는 교육위원장 선임에 학부모들과 함께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에 따라 ‘2011년도 경기도교육비 결산심의’(4일)와 ‘2012년도 경기도교육비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한 조례안 심의(5일) 등 상임위 일정이 차질을 빚었다.

최창의 도 교육의원은 5일 “다수당인 민주통합당이 여론을 무시한 채 다수의 힘으로 교육위원장 자리를 독식하려는 이상 교육상임위 회의에 참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의회도 민주통합당 시의원과 교육위원들 간에 교육위원장 선임을 둘러싸고 충돌했다. 상반기 교육위원장을 김상현 민주통합당 의원이 맡았는데 하반기에도 위원장을 다수당인 민주당이 차지할 움직임을 보이자 교육의원들이 반발했다. 서울시교육청 공무원노조도 지난달 28일 성명을 내고 “민주통합당은 지방교육자치법 정신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갈등은 4일 의원총회에서 최홍이 교육의원을 차기 교육위원장으로 내정하면서 일단락됐다. 최 의원은 오는 9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인준 표결을 거쳐 위원장으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최 의원은 “민주통합당이 늦게라도 교육자치의 필요성을 인정해 다행”이라면서도 “각 시·도 의회 교육위원회가 교육위원이 일반 시의원보다 1석 많게 구성된 것은 교육에 정통한 교육의원들의 영역을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원=김도영 기자,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