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장 떠난 경남도, 현안사업 차질 우려… 대선 출마 김두관 지사 사퇴로 도정 공백

입력 2012-07-05 22:03

김두관 경남지사가 대선 출마를 위해 6일 사퇴하면서 경남도의 현안사업들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더구나 지방세 수입마저 부동산 거래 위축으로 예년에 비해 30% 이상 줄어 예산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5일 경남도에 따르면 추진되고 있는 현안사업은 마산로봇랜드 조성, 남부권 신국제공항 건설,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성동 자족형행정복합타운 건설, 김해관광유통단지 조성 등 대형 프로젝트를 포함해 100여 개에 이른다. 거가대로·마창대교 등 민자투자사업 MRG(최소운영수입보장제도) 해결, 낙동강특별위원회와 민주도정협의회 등 자치제도 운영,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복지시책, 창원야구장 건설 등 18개 시·군의 모자이크 프로젝트 등이 있다.

따라서 예산 확보가 주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취득세, 등록면허세, 레저세를 포함한 도세와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를 합한 시·군세의 합계인 지방세 수입은 유럽발 경제위기 여파로 부동산 거래가 부진하면서 지난해보다 30% 이상 감소한 실정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국고 확보가 절실하지만 새누리당·민주통합당 소속 도내 국회의원과 경남도의 현안 협의를 위한 간담회조차 아직 열지 못하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올 연말 대통령선거라는 특성 때문에 현안사업의 대선 공약 반영이 될 수 있도록 능동적인 행정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대전·광주·경북·충북 등 전국의 상당수 광역단체장들은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간담회를 마무리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남부권 신공항, 대구∼광주 철도 건설,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도청 이전 신도시 건설 등 현안을 대선 공약으로 확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까지 정했다.

도 관계자는 “민선 5기 후반기 역점시책은 행정부지사를 중심으로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이라면서 “도지사 공백에 따른 도민들의 우려와 걱정을 불식시킬 수 있도록 도 공무원들은 책임 있게 업무를 수행 중이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