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산성 수돗물 대량공급 사태’ 공무원들 직무태만이 원인
입력 2012-07-03 20:37
지난 5월 광주 용연정수장에서 발생한 산성 수돗물 대량공급 사태는 공무원들의 부주의와 직무태만이 직접적 원인이 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광주동부경찰서는 3일 “그동안 용연정수장 공무원 8명과 공사 관계자 4명 등 관련자 12명을 불러 조사한 결과 공무원들의 부실한 근무자세가 사고를 불러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 조사결과 당시 근무한 공무원 2명은 통제실을 한꺼번에 비우고 점심식사를 하러가 수돗물의 산성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미처 몰랐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뒤늦게 사고사실을 안 뒤에도 실험실 근무자에게만 통보했다. 실험실 근무자들도 수돗물 희석을 위한 약품을 일부 뿌렸으나 직속상관이 전화를 받지 않자 지휘계통 보고를 중단해 사고를 키운 것으로 조사됐다.
용연정수장에서는 지난 5월 12일 화학약품인 응집제가 평소보다 10배 넘게 과다 투입돼 80만 명의 시민들에게 산성 수돗물이 한동안 공급됐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광주천에 수돗물이 흘러든 다음날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
경찰 관계자는 “정수장 전체 65명 가운데 약품밸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공무원이 2명에 불과할 만큼 전반적으로 근무자세가 불량했다”며 “이번 사고로 인한 실제 피해가 드러나지 않아 직무태만 공무원들을 형사입건 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