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터지는 ‘비박’… 새누리당 경선룰 심야 확정에 격앙
입력 2012-07-03 19:26
새누리당 지도부가 2일 심야 회동을 갖고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대선후보 경선을 치르기로 사실상 확정했다. 경선 룰 개정을 요구했던 비박(非朴·비박근혜) 대선주자 측은 3일 뒤늦게 이를 전해 듣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당 최고위원회는 여의도 모처에서 황우여 대표 주재로 경선 룰 논란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친이명박계 심재철 최고위원이 선거인단 구성 때 국민 참여 비율을 현행 30%에서 50%로 늘리고 전체 선거인단 규모도 20만명에서 40만명 수준으로 늘리자고 거듭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대다수 참석자는 “경선 룰을 바꾸려면 당헌·당규를 개정해야 해 혼란스럽기만 하다”며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당 경선관리위원회도 선거인단 수와 비율을 현행대로 유지키로 했다.
심야 회동에서 비박 3인(김문수 경기지사,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을 경선에 참여시킬 방법도 논의됐지만 뾰족한 수를 찾지는 못했다. 심 최고위원은 “내 제안은 비박 주자들에게 경선 참여 명분을 주자는 거였는데 거부당했다”며 “더 이상 의논해서 나올 명분이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참석자들은 비박 주자들을 만나 설득하는 노력을 계속하기로 결론을 내리고 헤어졌다.
비박 주자 진영에선 원색적인 비난이 쏟아졌다. 이 의원의 대리인인 권택기 전 의원은 “도둑놈들이 야반도주하는 것도 아니고 간밤에 모여 결정한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지금 새누리당은 정상적인 정당이 아니다”고 격분했다.
김 지사 측 핵심 관계자는 “당이 이런 식으로 자꾸 비박 주자들만 바보로 만들고 있다”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윤허하지 않으면 그 사람들이 모여서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전 대표 측 정양석 전 의원도 “당 지도부에 어차피 기대도 안 했기에 실망도 없다. 그들이 무슨 의지나 힘이 있기는 한가”라고 성토했다.
비박 3인 측은 일단 경선 룰 논의 시한인 9일까지는 당 지도부의 최종 결정을 기다린 뒤 경선 참여 여부를 밝힌다는 입장이다.
지도부가 경선 룰을 의결하기 전에 불참을 선언할 경우 ‘먼저 판을 깼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 막판에 극적 타협이 이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이 경선에 참여할 명분이 생길 여지는 거의 없어 보인다. 전날 회동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지도부와 비박 주자들이 만날 가능성은 희박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