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진핑가족 축재 후폭풍… 고위직 재산공개 당겨질까

입력 2012-07-02 18:42

중국 최고 권력자를 예약해 둔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 가족이 지난 10년 동안 10억 달러 이상의 부를 축적했다는 사실이 새로 알려지면서 당 간부들의 재산공개가 앞당겨질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95년 처음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규정이 제정된 뒤 그 항목과 대상자가 확대돼 왔다. 그러나 재산 신고 내용을 일반에 공개하지 않는 등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고위 당 간부들이 직간접으로 개입된 정경유착 사례가 비일비재한 데다 태자당으로 불리는 그들의 자녀들이 국영기업 대표 자리를 차지하거나 이권 사업에 손을 대는 경우가 많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이다.

올 들어 ‘보시라이 사건’이 터지면서 권력층의 부패상이 적나라하게 알려져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당 간부들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실정이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보시라이 사건 와중인 지난 3월 26일 국무원 회의를 통해 “권력은 태양 아래서 행사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원자바오 자신의 아들 원윈쑹(溫雲松·41)은 지난 2월 아시아 최대 위성통신서비스업체 중국위성통신 회장에 선출돼 물의를 빚었다. 이밖에도 권력 서열 2위인 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상무위원장의 사위 펑사오둥, 리창춘(李長春) 정치국 상무위원의 딸 리퉁, 자칭린(賈慶林) 정협 주석의 아들 자젠궈 등 상무위원 9명의 자녀 대부분은 아버지 후광을 이용해 축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2일 “시간이 갈수록 권력층의 비리를 숨길 수 없는 사회가 돼가고 있어 당 지도부로서도 고민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관측통은 “시진핑 스스로가 주도권을 쥐기 위해 자신과 가족의 재산을 공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지도층 대부분이 비리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재산공개를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