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중원대전] 민주 ‘우리당 대표상품’ 강조… “200여명 여권 물리치고 87명이 똘똘뭉쳐 지켰다”
입력 2012-07-02 19:20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야의 ‘중원 대전’이 시작됐다. ‘충청을 잡아야 승리한다’는 선거 공식이 등장할 정도로 역대 대선에서 충청권 표심은 당락을 좌우해 왔다. 특히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의 ‘충청권 신행정수도 건설’ 공약에서 시작해 2004년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 이명박 정부의 수정 논란을 거쳐 탄생한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여야 대선 주자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제 막 출범한 이 도시는 충청권 표심의 향배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여야를 막론하고 절대 빼앗겨선 안 될 전략적 요충지나 다름없다. 여야 잠룡들이 2일 너나 할 것 없이 세종시로 몰려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민주통합당은 2일 세종시 출범에 한껏 의미를 부여하며 세종시가 자당의 ‘대표 상품’임을 강조했다.
이해찬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7월 2일은 참여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의 일환으로 강력하게 추진했던 세종시가 발족하는 날”이라며 “이 정부가 세종시를 백지화하려고 여러 가지 방해를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세종시를 잘 지켜내고 힘 있게 추진해서 발족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이기도 한 세종시로 내려가 출범식에 참석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의원총회에서 “세종시는 노무현 대통령에 의해 발의돼서 이명박 대통령이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민주당 87명 의원의 힘으로 200여명의 여권을 물리치고 표결해 이겨서 출범한다”며 “앞으로 세종시가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민주당에서 돕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종시 출범식에 끝내 참석하지 않은 이 대통령에게도 날을 세웠다. 김한길 최고위원은 “세종시 출범은 단순한 부처 이전의 의미를 넘어 균형발전이라는 국가적 어젠다를 실현하는 것으로 국가의 최고 책임자가 직접 챙겨야 할 사안”이라며 “그런데 이 대통령은 세종시 근처에 왔을 때도 건설현장에 단 한번도 방문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출범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대선주자들도 저마다 세종시 사랑을 과시했다. 문재인 상임고문이 전날 세종시를 방문한 데 이어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도 이날 출범식에 같이했다. 충청권 표심을 파고들기 위한 행보인 셈이다.
문 고문은 기자간담회에서 세종시에 대통령 집무실 분실을 설치하는 등 사실상 행정수도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고문도 성명을 통해 “다음 정부는 강력한 의지로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을 막고 서울과 지방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 정책을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 고문은 “경기지사 재직 시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찬성한 것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였다”며 “앞으로도 세종시의 자족도시 기능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