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저축銀 비리’ 수사 … ‘임석 리스트’ 확인 땐 정치권 ‘발칵’

입력 2012-07-01 20:12


저축은행비리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의 칼날이 여야 거물급 정치인들을 직접 겨냥하면서 어디까지 불똥이 튈지 주목된다. 벌써부터 솔로몬저축은행 임석(50·구속기소) 회장이 특별 관리했다는 정·관계 인사들의 명단도 떠돌고 있다. 그러나 검찰이 이상득 전 의원 등 이미 실명이 공개된 인사들을 사법처리하는 데도 부담이 적지 않아 범위를 줄여 속전속결로 마무리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검찰 수사 어디까지=최재경 대검 중수부장 등 수사팀은 휴일인 1일에도 출근해 임 회장 등 관련자들을 불러 보강조사하는 등 3일로 예정된 이 전 의원 소환에 대비했다. 검찰은 이 전 의원 수사 및 사법처리를 최대한 신속히 마친 뒤 다음 수순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와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이 수사선상에 오른 게 확인됐다. 두 사람은 저축은행 측으로부터 각각 억대의 금품을 받은 의혹이 있다.

검찰과 정치권 주변에서는 이른바 ‘임석 리스트’도 나도는 상황이다. 정치권 인사뿐 아니라 금융 당국 간부, 청와대 관계자 등 5∼20명이 올라 있다고 한다. 임 회장은 진술 태도를 바꿔 정·관계 로비 부분에 대해 입을 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저축은행 수사 때도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 은진수 전 감사위원,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이 처벌됐다. 그러나 검찰은 “임석 리스트 같은 것은 없다. 언론이 너무 앞서 나가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달 중 검찰 간부 인사가 예정돼 있고, 대선 정국에서 정치적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에서 검찰이 수사 범위를 최소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수사를 총지휘하는 최 중수부장 역시 간결하게 핵심을 치고 들어가는 수사를 선호하는 스타일이다. 수사팀 관계자는 “이 전 의원 조사에 전력할 뿐 다른 인사들까지 들어갈 여력이 현재 없다”고 말했다.

◇이상득 전 의원 혐의는=검찰은 임 회장과 김찬경(56·구속기소) 미래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이 전 의원에게 2007년 이후 5억원 이상의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두 저축은행이 지난해 1, 2차 저축은행 퇴출 과정에서 제외됐다가 지난 5월에야 영업정지된 점을 주목하고 있다. 김 회장이 임 회장에게 로비 자금 명목으로 현금 14억원을 건넨 시기가 2차 구조조정 발표(지난해 9월)를 전후한 7∼10월에 집중됐다는 점도 의혹을 키운다. 이 전 의원이 이들의 청탁을 받고 금융 당국 고위층에 압력을 행사하거나 만남을 주선한 행위 등이 드러나면 알선수재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코오롱그룹으로부터 매달 수백만원씩 1억5000만원을 지원받은 부분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내대표와 정 의원은 여전히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엄연한 정치공작으로 이명박 정권이 박지원 죽이기에 나선 것”이라고 반발했다. 정 의원은 “금품수수 운운은 오해에 불과하다. 일종의 배달사고로 당사자들을 찾아 확인까지 했다”고 말했다. 대검 관계자도 수사팀이 두 사람을 수사 중이라고 한 데 대해 “그렇게 말했다면 잘못 말한 거다”라며 조심스러워했다. 검찰 일각에서는 “두 현직 의원 수사가 섣불리 공식화된 측면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호일 전웅빈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