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대선 ‘부정선거 변수’에 긴장… 지지율 1위 제도혁명당 니에토 후보, 선불카드 유포 의혹
입력 2012-07-01 19:09
12년 만의 정권교체냐, 마약과의 전쟁을 이끈 현 정권의 수성이냐.
멕시코에서 1일(현지시간) 치러진 대통령선거 투표에서 중도 성향의 제1야당인 제도혁명당(PRI)이 집권 국민행동당(PAN)을 누르고 12년 만의 정권교체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현재로선 PRI의 정권교체 가능성은 선거가 끝난 뒤 투표함을 열어보기만 하면 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변이 없는 한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PRI의 대선 후보인 엔리케 페냐 니에토(45)는 대선 전 각종 여론조사에서 40%대의 지지율을 보이며 경쟁 후보들에 비해 최소 10% 포인트 이상 앞섰다. 그러나 투표 시작 전후로 긴박감이 감돌기 시작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부정선거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의혹의 당사자는 당선이 유력시되는 PRI의 페냐 니에토 후보다. 그는 집권당인 PAN으로부터 520만 달러어치 선불카드 9500개를 유권자들에게 뿌리려 한 혐의로 고발당한 상태다. 3억3000만 달러인 선거기금 제한 규정을 어긴 혐의도 받고 있다. 멕시코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운동 기간 중 유권자 회유·협박 등 585건의 선거 관련 범죄 혐의를 조사해 380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PAN은 PRI의 부패 이미지를 십분 활용해 페냐 니에토 후보를 공격하고 있다. PRI는 71년간 장기 집권하며 부패와 비리를 일삼다 2000년 대선에서 패배한 경험이 있다. 12년에 걸친 개혁에도 불구하고 부패세력이 잔존해 활개치고 있다는 논리다. 반면 페냐 니에토 후보 측은 “우리는 아무 조건 없이도 유권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만으로 이길 수 있다”며 공격을 일축했다.
한편 각 지자체는 선거 전일과 당일 48시간 동안 술 판매를 금지했다. 판매 금지 기간에 음식점이나 술집, 슈퍼마켓 등에서 술을 팔다 적발되면 벌금형은 물론 영업시설 폐쇄 명령까지 받을 수 있다. 유권자들이 맑은 정신으로 투표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북부의 로스카보스 등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오는 지역과 미국 텍사스 접경지역의 면세점을 제외하고는 멕시코 전역이 대상이다.
양진영 기자 hans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