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 유한식 초대 시장 “국가 균형발전의 상징 세종시, 세계적 명품도시 만들 것”
입력 2012-06-29 18:52
“위헌 판결, 수정안 파동 등 우여곡절 끝에 세종시가 드디어 정식 출범합니다. 국가균형발전을 상징하는 도시인 만큼 행정, 교육, 환경, 교통 등 모든 면에서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만들어 갈 겁니다.”
1일 출범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초대 사령탑을 맡게 된 유한식(사진) 세종시장은 29일 “강한 책임감을 느낀다. 세종시가 명품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초석을 놓는 마음으로 일하겠다”고 말했다. 유 시장은 1일 취임식을 갖고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유 시장은 “세종시는 수도권 과밀화 해소, 국토균형발전이란 큰 철학을 갖고 출범한다”며 “세종시가 당초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초대 시장으로서 소명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가장 우선적인 과제로 화합행정을 꼽았다.
“이제 연기, 조치원, 부용, 의당, 장기는 없어지고 세종시 하나만 남습니다. 정파, 지역, 계층 간 갈등과 반목을 없애고 대통합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세종시란 이름 아래 모두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그는 “세종시의 정상 건설을 위한 기반조성, 예정지와 편입지역 간 균형발전, 시민의 삶 향상에 모든 시정 역량을 집중해 누구나 찾고 싶은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중앙정부나 대전·충남북 등 인접 지방자치단체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종시가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 올 하반기 국무총리실이 이곳으로 이전하면 관계 부처에 적극적인 협력을 구할 예정”이라며 “정치권의 초당적 지원과 충청권의 탄탄한 공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세종시는 특성상 대규모 공장유치나 기업 이전이 어려워 세수 확보가 원천적으로 어렵다. 세종시 건설에 투입되는 정부예산 8조5000억원도 처음 지정된 세종시에만 쓰이고 전체 면적의 83%인 편입지역에는 사용할 수 없다”면서 세종시 내 균형발전과 자족기능 확보를 위한 특별법 개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울러 “도시를 안정적으로 건설하는 것과 함께 근교농업 및 친환경 과학영농 육성 등을 통해 도시와 농촌지역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세종시는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9부·2처·2청·1실·2위원회 등 중앙행정기관 16개와 소속기관 20개 등 모두 36개 기관이 들어선다. 오는 9월 국무총리실 및 조세심판원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12개 정부부처와 소속기관이 옮겨 올 예정이다.
연기군 전역(361㎢)과 공주시(77㎢), 청원군(272㎢) 일부를 흡수한 세종시는 면적이 465.23㎢으로 서울의 4분의 3 규모다. 행정구역은 1읍·9면·14동으로 개편되며 전화번호 지역번호는 044가 부여됐다. 인구는 현재 12만1000명이며 2020년에는 30만명, 세종시 완공 시점인 2030년에는 50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연기=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