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회 정상화 합의…민간인 사찰 국조·MBC 파업 문제 신경전 여전

입력 2012-06-29 21:50


여야가 19대 국회 정상화에 어렵게 합의했지만 민간인 불법사찰 국정조사 등 쟁점을 둘러싼 불씨는 여전하다. 지각 개원이지만 대선 정국과 맞물리면서 세부 사항에서 입장 차가 여전해 향후 진통이 불가피해 보인다. 각 당 내부에서는 배분된 상임위원회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한 달여간 협상을 끌어온 여야의 신경전은 국회 개원에 합의한 29일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당초 오전 8시로 예정됐던 양당 원내대표 간 합의문 서명은 예정시간보다 한 시간 이상 늦은 9시20분쯤 이뤄졌다. 민주통합당 내부에서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 등에서 “너무 얻은 게 없다”는 비판이 제기돼 막판까지 합의문을 고치려고 시도했다는 후문이다. 이해찬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합의 내용에서 우리가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면서 “무엇보다 민생 챙기는 게 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해 작은 이해관계는 다 버렸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MBC 파업 문제 해결을 두고도 벌써부터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합의문에는 “새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가 노사 양측 요구를 합리적 경영판단 및 법 상식과 순리에 따라 조정·처리하도록 협조한다”고 돼 있다. 이를 두고 MBC 노조는 방문진의 역할을 명시한 만큼 해당 조항은 김재철 사장 퇴진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반면 새누리당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논란이 확산되자 “노사 중 어느 한편을 들어 정상화하기로 한 것은 아니다”며 “여야는 중립적 입장에서 노사 관계가 정상화되도록 노력하기로 합의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상임위에서 개최되도록 노력한다”고 합의한 청문회에 대해서도 서로 속내가 다르다.

여야 신경전과 별도로 당내에서는 상임위원장 선출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상임위에 따라 여러 명의 후보자가 한꺼번에 몰려 교통정리가 되지 않을 경우 경선까지 갈 상황이다. 특히 언론사 파업 문제와 4대강 문제 등으로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되는 상임위와 전통적 인기 상임위는 경쟁이 치열하다.

새누리당 몫인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에는 장윤석 주호영 한선교 의원 등이 거론된다. 국토해양위는 야당으로 넘어가면서 당초 국토위원장을 기대했던 김태환 의원이 다른 위원장을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위원장은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낸 최경환 의원과 강길부 의원이 경합 중이다. 민주당 몫인 법제사법위원장은 박영선 의원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농림수산식품위원장은 최규성 의원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김현길 김아진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