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낮추고 원금 분할상환 ‘은행권 프리워크아웃’ 추진… 단기연체 저신용자 회생 돕는다

입력 2012-06-28 19:10

1개월 미만 단기연체를 반복하는 저신용자가 ‘빚의 덫’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생긴다. 금융당국이 잠재적 신용불량자의 채무 구조를 개선하는 은행권 프리워크아웃(사전 채무조정)을 추진하고 나섰다. 프리워크아웃은 채무자 상환능력에 맞춰 대출금리를 낮춰주고, 원금을 분할 상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또 일반적인 은행대출을 받기 어려운 사람을 위해 10∼20%대 신용대출 상품이 나온다. 한 자릿수 금리의 은행대출과 30%가 넘는 대부업 대출 사이에 벌어진 금리단층을 메워 저소득·저신용층 이자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과 회의를 열고 은행권 공동 프리워크아웃 도입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 금감원은 KB국민은행이 운영하고 있는 ‘신용대출 장기 분할상환 전환’ 프로그램을 모범사례로 꼽고 있다. 은행권 프리워크아웃은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1∼3개월 연체자 대상), 개인워크아웃(3개월 이상 연체자)에 앞서 가계파산을 막아주는 완충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프리워크아웃은 1개월 미만 단기 연체를 반복하는 저신용자가 주요 대상이다. 1개월 미만으로 연체를 하면 부실채권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연체가 잦아지면서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담보가치가 추락한 주택담보대출자, 다중채무자 가운데 잠재적 부실 위험군이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잠재적 부실 위험군을 30만7000가구로 추정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2월 0.85%, 3월 0.84%, 4월 0.89%, 지난달 0.97%로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김찬희 강준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