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서울대·KAIST 등 36개 대학 2012년부터 청렴도 평가
입력 2012-06-28 18:53
올해부터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전국 36개 국공립대학도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를 받게 된다.
권익위는 교수의 연구 활동과 예산 집행 등에 대한 별도의 설문항목을 개발해 국공립대학 청렴도를 평가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계획을 28일 발표했다. 부패 인식 개선이 더딘 교육 분야의 청렴도를 한층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다.
권익위는 대학의 청렴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내·외부 평가를 병행할 계획이다. 대학별로 교수와 조교, 교직원 등 400∼500명을 대상으로 한 내부 평가와 해당 대학과 구매·용역·공사계약을 맺은 계약 상대방을 통한 외부 평가를 합산하는 방식이다.
권익위는 또 금품·향응 수수라는 전형적인 부패 이외에도 부정한 청탁의 수수, 연고관계에 따른 업무 처리, 부당한 사익 추구, 권한 남용, 퇴직공직자의 불법 로비 등 최근 두드러진 공직부패 유형들을 공공기관 평가 항목에 추가하기로 했다.
아울러 공직유관단체 평가 시 부패 사건이 언론에 노출된 정도를 나타내는 ‘부패사건 언론노출지수’를 새롭게 반영하기로 했다. 권익위 측은 “부패 사건에 연루된 기관의 청렴도가 높게 나오는 등 구체적인 부패 실태와 청렴도 점수 간에 괴리가 생기는 현상을 바로잡고, 일반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청렴도 측정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평가는 다음 달부터 5개월간 이뤄지며 결과는 오는 11월에 발표된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