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청원군 2014년 통합된다
입력 2012-06-28 00:34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이 네 번 도전 끝에 통합에 성공했다. 주민투표를 통해 기초자치단체끼리 행정구역을 합치는 것은 2004년 주민투표법 제정 이후 처음이다.
청원군은 27일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에서 36.8%의 투표율을 보여 찬성 77.7%로 통합을 결정했다. 청주시의회는 지난 21일 만장일치로 통합을 의결함에 따라 청주시는 이번 주민투표에서 제외됐다.
이로써 청주시와 청원군은 2014년 7월 1일 인구 80만명이 넘는 통합시로 탄생한다. 1994년 첫 시도 이후 네 번째 만이며, 1946년 청주부와 청원군이 분리된 뒤 68년 만의 통합이다.
청원청주통합주민참여운동본부는 “청원군민의 현명한 선택으로 잘못 분리된 행정구역을 묶는 역사적 통합을 이루게 됐다”며 “통합 효과를 최대한 살려 중부권 핵심 도시로 성장시키자”고 말했다.
한국은행 충북본부는 8개 도의 대표적 12개 시와 청주시의 경제력을 평가할 경우 현재 10위에서 통합 후엔 4위로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12개 시는 경기도 수원시·성남시·안산시·고양시·용인시와 강원도 원주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전남 여수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등이다.
청원군은 통합 이후 청주시에만 있는 여성장애인 출산지원금, 효도수당 지급, 생활폐기물 처리비용, 장수수당 등 9개 분야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1994년과 2005년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를 실시했으나 모두 청원군민 과반이 반대해 무산됐다. 이후 2009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정부의 행정구역 자율통합 지원 방침 속에 진행된 3차 자율 통합도 청원군 의원 12명 전원이 반대해 실패했다. 2010년 6·2지방선거에서 통합을 공약한 후보들이 당선되면서 통합 논의가 재점화돼 같은 해 8월 충북도와 청주시, 청원군이 통합추진 기본 원칙에 합의했다.
청주시와 청원군은 여론수렴을 거쳐 통합시 명칭을 정하고 연말까지 ‘통합시설치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후 행정안전부 산하에 통합시 준비위원회와 지원단을 구성해 통합을 진행한다.
청주=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