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반출입 물동량 48%로 ‘뚝’… 물류 차질 현실화
입력 2012-06-27 00:05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26일 주요 물류거점의 화물 반출입량이 평소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등 물류 차질이 현실화하고 있다. 화물연대 조합원과 비조합원 간의 잇단 충돌로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와 화물연대가 대화에 나설 계획이어서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전국 곳곳서 물류 차질=국토해양부는 지난 25일 낮 12시 기준 275대였던 파업 가담 차량이 26일 오후 6시 현재 2848대로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주요 물류 거점 지역 13곳의 화물차량 1만190대의 약 25.5%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물차량 4대 가운데 1대는 파업에 참여한 셈이다. 이에 따라 전국 주요 물류 거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3만4802TEU(6m짜리 컨테이너 단위)로 평상시 반출입량의 47.9%에 그쳤다.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경우 전날보다 400여명 늘어난 1000여명이 부산 북항과 신항에서 파업을 벌였다. 이에 따라 북항 A부두의 경우 40%, 신항 B부두는 60% 줄어드는 등 부산항 전체로는 화물 반출입량이 평균 57% 감소했다. 수도권 물류거점인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경인ICD)와 평택항도 물동량이 평상시의 20~30% 수준으로 떨어졌다.
경남지역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입 피해가 현실화됐다. 한국무역협회 경남본부에는 이틀간 도내 중소기업으로부터 모두 17건(수출 9건, 수입 8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전체 피해 금액은 모두 140만 달러에 달한다.
◇운송 방해 사례 잇따라=부산 북항 신선대 부두에서는 이날 오전 구슬탄 새총으로 운송을 방해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화물 차량 2대가 앞 유리 일부가 파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신항에서는 조합원이 비조합원이 운행하는 차량을 카메라로 찍은 뒤 욕설을 하는 등 극렬한 행동을 한다는 신고도 접수됐다.
이에 터미널 운영사들은 운행 차량의 번호판을 가리거나 임시번호판을 발급받도록 관계당국에 요청했다. 경찰과 해경은 주요 항만에 대한 테러가 우려됨에 따라 해상경비정 26척을 동원해 부두와 해상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부산신항의 높이 100m 조명탑 20m 부분에서 이틀째 고공 단식농성을 벌이고 있는 화물연대 부산지부 박원호 지부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재벌 운송사들의 로비로 인해 표준운임제 시행 등 2008년 정부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약속의 절반만 이행해도 파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27일부터 대화 시작=국토부는 국방부에 군위탁 컨테이너 차량을 요청해 이날 부산항, 광양항 등에 총 100대를 배치했고, 운송거부가 장기화할 것에 대비해 야드 트랙터의 항만외 운행, 자가용화물차 유상운송 허용 등 비상수송 대책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주말쯤 화물연대 파업의 확산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강범구 물류항만실장은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컨테이너 장치율이 85%를 넘어서면 (물류 사정이) 심각한 상황에 접어들 것으로 우려한다”며 “현재 추세로 볼 때 20일 정도는 버틸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화물연대와의 공식 교섭은 27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강 실장은 “쟁점인 운송료 인상과 관련해 오늘 오후에 운송업체와 모임을 가진 뒤 내일 오후부터 화물연대 측과 직접 대화를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장희 기자,부산=윤봉학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