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운송거부율 2.7%

입력 2012-06-25 19:06

화물연대가 25일 총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물류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물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국토해양부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법무부, 노동부, 지식경제부 등 5개 부처 합동으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따른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권도엽 국토부 장관은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에 대해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조기에 종결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를 자행할 경우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즉각 구속하는 등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대체수송 수단을 확보하는 한편 주요 항만과 물류시설 진입로 주변에 경찰력을 배치해 운송방해 행위를 미리 막을 계획이다.

국토부 산하 중앙수송대책본부는 이날 정오기준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실제 운송거부율은 2.7%에 그쳤다고 밝혔다.

대책본부 관계자는 “부산항, 인천항 등 전국 13개 주요 물류거점은 평상시 운행차량이 1만105대”라며 “이날 정오 현재 운행차량이 9830대로 97.3%의 운행률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2008년 6월 화물연대 파업 1일차 당시 전국적인 운송거부율(18.3%)의 약 7분의 1 수준이다.

이처럼 파업 첫날 물류 차질은 크게 빚어지지 않았지만, 산업계에선 향후 파업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이 나오지 않으면 운송거부율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화물연대는 현 정부 출범 당시인 2008년 약속했던 표준운임제 도입, 운송료 30% 인상과 면세유 지급, 산재보험 적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