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장기화땐 물류 수송 차질 불가피

입력 2012-06-25 19:12

산업계는 25일부터 시작된 화물연대 총파업이 당장 물류대란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파업이 장기화되거나 파업 규모가 커질 경우를 대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우선 주요 대기업 중 자체 물류시스템이 준비돼 있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모습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완성차 수송 등 대부분 물류는 현대글로비스가 담당하는데 현재 별다른 어려움 없이 원활하게 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LG전자도 각각 자사 제품을 운송하는 물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어 파업에 따른 직접 영향권에서는 벗어나 있는 상황이다.

철강업계 역시 기업별 대응체계를 사전에 구축해 놓아 당분간 파업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포스코 관계자는 “화물연대와 계약하고 있는 물량이 없어 당장 파업에 따른 피해는 없다”며 “철도수송 등을 활용해 출하가 정상적으로 되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산업계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수출입 물량 운송 거부에 따른 제조업체에 직접적인 피해를 야기하거나 정상 운송업체 차량에 대한 화물연대의 운송방해, 도로점검, 농성 등으로 인한 물류 수송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물류업계는 정상 운송업체에 대한 운송 방해 등의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물류업체 관계자는 “파업 장기화와 비노조원까지 파업이 확대할 경우에 대비해 화물연대에 가입 안한 협력업체 차량, 철도 등 가용수단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경제단체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화물연대 파업 중단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는 명분 없는 불법 집단행동에 불과하다”고 비판했고,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정부는 비조합원의 화물수송에 대한 영업방해 행위 등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장희 김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