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범죄수사부는… 1,2부 체제 운영 부장검사 2명에 검사 6명

입력 2012-06-24 22:02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부는 참여정부 시절인 2005년 2월 기존의 컴퓨터수사부가 확대 재편되면서 생겨났다. 당시 법무부는 첨단기술 유출 사범과 첨단기술을 이용한 신종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했다. 2009년 2월에는 사이버범죄 수사를 전담하는 첨단범죄수사 제2부가 추가되면서 현재까지 1, 2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첨단범죄수사 1부는 첨단 기술 관련 범죄를 맡고, 2부는 컴퓨터·인터넷 관련 범죄를 전담토록 돼 있다.

서울중앙지검 홈페이지를 보면 3차장(현 윤갑근 차장) 산하의 첨단범죄수사 1, 2부에 대해 ‘검사장이 지정하는 첨단범죄 사건 수사 및 처리에 관한 사항, 이와 관련된 정보 및 자료 수집·정비에 관한 사항,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통신 매체와 관련된 증거자료에 대한 압수·수색 및 분석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첨단범죄수사 1부는 김영종(46) 부장검사와 검사 3명, 2부는 김봉석(45) 부장검사와 검사 3명으로 구성돼 있다. 김영종 부장검사는 2003년 9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검사와의 대화 자리에서 “대통령도 검찰에 청탁하지 않았느냐”고 자극해 노 대통령이 “이쯤 되면 막가자는 거지요?”라며 격분하기도 했다.

김 검사의 당돌한 태도 때문에 한때 ‘검사스럽다’는 말이 유행하기도 했다. 첨단범죄수사 2부를 맡고 있는 김봉석 부장검사는 ‘10·26 재보선 디도스 공격 사건’ 검찰 특별수사팀을 이끌었지만 부실 수사 논란이 일면서 특검에서 재수사가 이뤄졌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