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남북 경제공동체를”-정몽준 “취약계층 문화혜택”… 그 와중에도 뜨거운 정책 경쟁
입력 2012-06-24 18:34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기사를 쓰더라도 (김문수 경기지사가) 통일정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뭐라고 말했다고 같이 좀 써주세요.”
24일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김문수 경기지사가 통일정책을 발표한 직후 김 지사 캠프 관계자가 한 말이다. 경선 규칙 변경을 둘러싼 ‘친박(親朴)’ 대 ‘비박(非朴)’ 신경전 때문에 정작 정책 공약이 제대로 부각되지 못하자 아쉬움을 토로한 것이다. 김 지사에 앞서 문화 분야 공약을 발표한 정몽준 전 대표 역시 발표 중간에 “기사 한 줄 안 날지도 모르지만 제가 이번에 8번째 대선 공약을 발표하는 만큼 관심 좀 가져주셨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경선 룰 논란이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비박 주자들은 잇따라 공약을 발표하며 정책 알리기에 애를 쓰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의 통일’을 기치로 남북 경제 공동체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남북 자유무역협정(FTA), 남북경제협력기본협정 등을 통해 남북한 공동시장을 구성하자는 주장이다. 또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개성공단을 황해도 전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전 대표는 문화 공약을 통해 문화의 혜택이 취약계층에 골고루 돌아갈 수 있는 ‘문화민주주의’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문화예산을 전체 국가 예산의 1.1% 수준에서 2% 이상으로 올리고, 2000억원대로 줄어든 문예진흥기금을 1조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세계적인 문화콘텐츠 산업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1조원 이상의 콘텐츠진흥기금도 조성하겠다고 덧붙였다.
25일 경선 예비후보 등록을 할 예정인 안상수 전 인천시장은 이날 40일간의 민생투어를 마치고 주요 공약으로 가계부채 해결을 내걸었다. 안 전 시장은 “지금 가장 큰 문제는 1조원이 넘는 가계부채”라며 “가계부채의 원금 상환을 5년 정도 유예토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