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선 룰 전면전] 압박하는 이재오·정몽준… 명부 유출 朴책임 주장
입력 2012-06-22 22:18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과 정몽준 전 대표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되지 않을 경우 당내 경선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재차 밝혔다. 또 당원명부 유출 사건은 당시 지도부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직접 겨냥했다.
이 의원은 22일 YTN 인터뷰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는 것은 후보들 간 유불리를 떠나 적어도 새누리당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승리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길이기 때문”이라며 “당 후보들이 동의할 수 있는 룰이 나오지 않으면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것은 변함없다”고 밝혔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중재안 마련도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이 의원은 “오픈프라이머리를 반대하는 쪽과 중재하려는 당에서 제안해 와야 한다”면서 “(하지만) 그런 중재안을 내기가 오픈프라이머리를 받기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비박 3인방의 후보 단일화를 위한 ‘미니 경선’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된 바 없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특히 박 전 위원장이 가장 유력한 후보라는 평가에 대해 “속단하기 이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한나라당 때 (대세론의) 이회창 후보를 모시고 두 번 다 눈앞에서 대권을 놓쳤다”며 “집권 가능성을 지금 각 당 지지율을 놓고 속단하기에는 이번 대선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성 리더십 논란 발언’과 관련해서는 “분단 상황에서 위기관리 능력이 매우 필요해 그걸 강조한 것”이라며 “특별히 위기관리 능력이 남자가 더 있고, 여자가 없다는 건 아니다”고 한 발 물러섰다.
그러나 당원명부 유출 사건과 관련해서는 박 전 위원장의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이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당은 명부 유출에 의한 부정선거를 검찰에 수사 의뢰해야 한다”며 “부정선거 당사자들은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몽준 전 대표도 언론 인터뷰에서 “박 전 위원장이 당시 비상대책위를 맡고 있었기 때문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 전 대표는 경선과 관련, 오픈프라이머리가 되지 않을 경우 불참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김문수 경기지사가 ‘경선 룰이 바뀌지 않으면 경선에 불참하겠다’고 말한 데 대해 “김 지사는 계속 그런 생각을 해 왔고 저와 이재오 의원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박 전 위원장이 여성이어서 군 통수권자가 될 수 없다는 건 아니지만, 북한과 우리의 차이를 너무 가볍게 보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있다”고 말했다.
김현길 유성열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