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원장 배분 의견접근… 여야, 책임 떠넘기며 ‘원구성 대치’ 지속
입력 2012-06-22 23:27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22일 19대 국회 원구성이 늦어지는 책임을 서로에게 떠넘기며 대치 상태를 이어갔다. 양당은 두 차례 원내수석부대표 접촉을 갖고 그간 논란이 됐던 상임위원장 배분, 민간인 불법사찰 국정조사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민주당이 등원 조건으로 언론사 파업 관련 청문회를 강하게 요구하면서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했다.
언론사 파업 청문회에 대해선 양당의 입장차가 큰 상황이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민주당의 관심은 선거 때 편파방송 세력을 규합하는 데에만 가 있는 게 아닌지 걱정될 정도”라고 비판했다. 이에 민주당 박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언론사 파업 문제에 요지부동인 것은 언론에 재갈을 물려서라도 집권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반격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선진통일당 성완종 원내대표를 찾아가 “다음달 10일까지 신임 대법관을 임명해 대법원 공백 사태를 막으려면 다음달 5일까지는 인사청문회를 끝내야 한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그러려면 25일에는 국회를 열어 인사청문특위를 구성해야 일정대로 인사청문회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여당이 선진통일당과 함께 민주당을 배제한 채 국회 개원을 강행할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당원명부 유출 사건을 둘러싼 공방전도 격화됐다. 새누리당 서병수 사무총장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박 원내대표는 당원명부를 입수한 문자메시지 발송업체와 계약을 맺은 사람이 새누리당 29명, 민주당 28명이라고 했는데, 자체 조사 결과 새누리당 관련 인사는 8명뿐”이라며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사퇴를 촉구한) 박 원내대표 주장대로라면 해당 민주당 의원들에게도 사퇴하라고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에 박 원내대표는 “우리 민주당은 ‘도둑의 장물’을 이용해 문자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다”며 “어떻게 합법적으로 법에 규정된 문자메시지를 보낸 민주당 후보와 당선자들에게 그런 파렴치한 발언을 할 수 있느냐”고 맞받았다.
김나래 김아진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