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허가촌 주민 모두에게 임대주택 공급… ‘25년 방치’ 강남 구룡마을 공영개발 한다
입력 2012-06-21 19:05
서울 강남지역의 흉물로 25년간 방치됐던 구룡마을 집단 무허가촌이 주민 모두에게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일자리도 제공하는 방식으로 공영개발된다. 이로써 강남지역에서 대규모 무허가 판자촌은 사라지게 됐다.
서울시는 20일 열린 제12차 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개포동 567의 1 일대 구룡마을 자연녹지지역 28만6929㎡에 대한 도시개발구역 지정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심의에서는 애초 입안된 27만9085㎡에서 조사가 누락된 일부 훼손지역 7844㎡를 추가해 28만6929㎡ 규모로 수정 가결했다.
이에 따라 구룡마을 무허가 건축물 약 403개동에 거주하는 1242가구 2530명의 주민들이 100% 재정착할 수 있는 임대주택이 공급된다.
이는 시의 제안으로 정부가 지난해 9월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시장으로 하여금 현지 거주민에게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기존의 경우 10% 범위 안에서만 임대아파트를 줄 수 있어 재정착에 한계가 있었다.
구룡마을은 1987∼92년 무허가 판자촌이 형성된 뒤 올 1월 화재가 두 차례 발생하는 등 화재가 끊이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지난해에는 수해까지 발생했다.
시는 구룡마을이 택지로 바뀔 경우 재산가치가 급상승하는 점을 감안해 개발이익을 모두 현지 주민들에게 되돌리는 차원에서 SH공사를 통해 공영개발하기로 확정했다. 개발계획 수립 때 공공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도 재정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시는 이르면 올 연말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내년에 토지보상 및 사업승인 절차를 밟기로 했다. 이어 2014년 착공해 2016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4월 “민영개발은 안 된다”는 입장을 확정했다. 이후 주민들의 집회와 시위가 이어졌으나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이 목적이라는 점을 내세워 주민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시 관계자는 “소형 위주의 분양아파트를 최소 규모로 짓고 개발이익으로 업무시설 및 연구시설을 지어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시 도시계획위원들이 조건부가결을 한 만큼 개발계획 수립 때 이를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