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낙천자들 ‘불공정 경선·공천 원인무효’ 제기 가능성
입력 2012-06-20 18:56
새누리당 당원명부 유출 사건이 8명 내외의 예비후보자들에게도 넘겨진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당 대선후보 경선 국면에서 뇌관으로 떠오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은 이들이 대부분 공천에서 탈락했다며 파문 확산을 경계하고 있지만 실제 공천을 받은 2명의 경우 당원명부가 경선이나 공천 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질 수 있다.
당 진상대책위원장인 박민식 의원은 20일 브리핑에서 “친이, 친박 같은 계파적 공통점이나 지역적 공통점은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 이들이 대부분 여론조사나 경선, 공천위의 결정에서 탈락한 만큼 공천 과정의 공정성을 크게 훼손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19대 국회에 진출한 이채익 의원(울산 남갑)의 경우 “전략공천이었기 때문에 당원명부와 상관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공천을 받았다 낙선한 김준환 당협위원장(충북 청주 흥덕을)은 친박계 인사로 알려져 있어 의혹의 시선이 쏠린다. 김 후보는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총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가 직접 명부를 받은 일은 없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4·11총선 공천이 ‘친박계의 친이계 학살’로 평가됐던 당시 상황을 감안하면 논란이 재연될 소지가 없지 않다.
낙천자들이 불공정 경선과 공천을 주장하면서 원인무효를 제기할 가능성도 있다. 이채익 의원의 전략공천에 반발, 탈당했던 최병국 전 의원 측 관계자는 “이런 꼼수가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며 “만일 사실이라면 이는 중대한 범죄이며 즉각 의원직을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 관계자는 “당원명부를 확보한 사람이 사전선거운동을 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거나 검찰 수사에서 비슷한 정황이 포착될 경우 문제가 복잡하게 꼬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과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 주자 측은 당원명부 유출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함과 동시에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압박의 호재로 삼고 있다.
이재오 의원은 “당원명부를 허술하게 관리했던 당시 지도부들이 전부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또 만약에 당원명부를 이용해 국회의원이 됐거나 위원장이 됐다면 당장 그만둬야 한다. 부정선거로 당선됐다면 그만둬야 제1당이 제3당, 제4당의 당내 부정선거를 비판할 수 있는 도덕성이 생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도 “박근혜 전 위원장이 당을 책임지고 사실상 공천권을 행사했던 시절에 당원명부 유출 사건이 벌어졌다는 점에서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