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진당 쇄신안 실천으로 새 모습 보여라

입력 2012-06-18 18:25

통합진보당 혁신비대위 산하 새로나기 특별위원회가 18일 북한의 인권, 핵개발, 3대 세습 등에 보다 비판적인 입장을 제시키로 했다. 북한의 인권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고, 핵개발은 분명히 반대하며 3대 세습도 일반적 민주주의 원칙에서 당연히 비판돼야 한다는 것이 요지다. 늦은 감은 있지만 이제야 제 정신을 차린 것 같아 일단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만하다.

한·미동맹 해체와 미군철수 문제도 동북아 안보의 관점에서 역할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천명했다. 철저한 반미로 일관해온 지금까지의 행보를 바꾸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본다. 재벌해체도 방향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현실성과 타당성 면에서 재검토키로 했다. 이대로 실천만 된다면 기존의 보수 정당과 별 차별성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혁신적이다.

문제는 이번 쇄신안이 당의 최종 입장이 아니라 새로나기 특위의 활동 목표에 불과하기 때문에 과연 강령으로 정해질 수 있느냐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특위의 주축은 이석기나 김재연 의원 같은 종북세력이 아니라 노동운동에 매진해온 이른바 민중민주계열 인사들이다. 곧 있게 될 당 대표 선거 에서 종북세력인 주사파가 패권을 잡을 경우 쇄신안은 휴지조각이 될 것이 뻔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번 쇄신안이 당의 강령으로 확정되기 위해서는 주사파 세력을 당권에서 배제하는 선택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불법적인 비례대표 경선으로 금배지를 단 종북주의 인사들을 빠른 시일 내 출당시키는 등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은 언행을 한 사람들을 도태시켜야 한다. 주사파를 제외한 모든 정파가 힘을 합치는 지혜를 발휘하기 바란다.

새가 양날개로 날듯 정당도 보수와 진보가 균형을 맞춰 발전할 때 나라의 미래가 보장된다고 믿는다. 신자유주의의 득세로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져 서민과 노동자는 정부의 보호망에서도 소외돼 의지할 곳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설득력있는 진보당의 존재 의미가 적지 않다는 뜻이다. 쇄신안의 정신을 잘 살려 사회적 소수의 진정한 벗이 되는 새로운 진보의 모습을 보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