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선룰 전면전] 황우여, 별도기구 거부… 최고위 산하 6월18일 출범
입력 2012-06-17 19:29
대선 경선 룰을 둘러싸고 새누리당 친박근혜 성향의 지도부와 비박(非朴·비박근혜) 주자 간 갈등이 전면전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황우여 대표는 16∼17일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를 만났지만 소득이 없자 18일 최고위원회 산하에 경선 룰 협의기구를 발족시키겠다고 밝혔다. 비박 주자들의 별도 논의 기구 설치 주장을 거부한 것이다. 반면 황 대표와의 면담을 보이콧한 정몽준 전 대표를 비롯해 비박 주자들은 경선 등록을 거부한 채 지도부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한 비난 수위를 한층 높였다. 친박계에서도 윤상현 의원이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등 비박계 주장에 반격을 가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17일 취임 1개월 기자회견 및 간담회에서 “내일(18일) 최고위원회 산하에 대선후보 경선 룰 협의 기구를 만들고, (그 기구에서) 중립성 있게 논의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주말 동안 비박 주자들과 연쇄 회동을 가졌지만 의견이 전혀 좁혀지지 않자 그들이 요구하는 독립적인 논의 기구 설치 제안을 거부한 것이다.
황 대표는 “(협의 기구를) 당 밖에 둘 수는 없다”며 비박 주자들의 요청에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기자회견에서도 “주자들의 예비후보 등록이 중요하다. 그래야 대리인들도 자격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또 “당헌·당규가 고쳐지기 전까지는 엄격하게 당헌·당규에 따라 진행할 수밖에 없다”며 경선관리위원회 출범 등을 일정대로 추진할 생각임을 강조했다. 주자들이 후보 등록부터 한 뒤 협의 기구를 구성하고 경선 룰 논의를 시작하자는 얘기다.
경선 룰과 관련해 이틀간 비박 주자들과 접촉한 황 대표는 주자들마다 입장이 달라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황 대표는 16일 이재오 의원과 만찬을 겸해 2시간 동안 의견을 나눴지만 구체적 논의는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17일에는 여의도 당사에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김문수 경기지사를 연이어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임 전 실장은 ‘대의원과 당원 선거인단을 50만명으로 확대하고, 1·2위 후보를 대상으로 하는 결선투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최고위원회의가 아닌 당 대표 직속의 경선 룰 협의 기구를 설치하고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위한 선거법 개정에 힘을 모을 것을 요청했다. 이렇듯 다양한 목소리가 쏟아지자 황 대표는 일단 협의 기구를 만든 뒤 논의를 시작하자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친박근혜계의 기존 스탠스와 크게 다르지 않아 18일 최고위원회의 결과가 주목된다.
그동안 경선 룰 협의를 당 지도부에 일임한 채 언급을 자제해 온 친박계도 비박 주자들을 상대로 공개적인 반격에 나섰다. 윤상현 의원은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현 상태의 대선 구도는 박근혜 대 마이너리거들의 싸움이 아니라 박근혜 대 안철수의 싸움”이라며 “안철수가 빠진 오픈프라이머리는 그 자체가 웃기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마이너리그에 계신 분들이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는 것은 낮은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한 공학적 시도”라며 “사나이답게 정정당당하게 싸워 달라”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