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비박 3인방 대리인 ‘경선룰 첫 회동’ 접점 못찾아

입력 2012-06-15 19:14

새누리당 지도부가 15일 대선 경선 룰 갈등 해법을 찾기 위해 비박(非朴·비박근혜) 주자 3인방 대리인과 첫 회동을 가졌으나 뾰족한 접점을 찾지 못했다. 어느 쪽도 쉽게 양보할 수 없는 싸움인 데다 워낙 양쪽의 입장차가 커서 회동이 진행된 2시간30분 동안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다.

황우여 대표와 서병수 사무총장은 여의도 한 호텔에서 정몽준 전 대표 측 안효대 의원, 이재오 의원 측 권택기 전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측 신지호 전 의원과 마주 앉았다.

황 대표는 “주자들이 일단 경선 후보 등록을 해야 안정감 있게 경선 룰 협의기구를 만들 수 있지 않느냐”며 주자들이 먼저 당내 경선 후보 등록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선(先)등록, 후(後)논의’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에 비박 주자 대리인들은 “경선 룰 협의기구를 먼저 만들고 협상이 돼야 경선관리위원회가 만들어지고 후보 등록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비박 대리인들은 경선 흥행을 위해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황 대표는 “이번 경선은 어떤 기획이나 연출보다 진정성이 중요하다”는 말로 우회적인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경선 룰 협의기구 설치에도 이견이 여전했다. 비박 대리인들은 “별도의 경선 룰 협의기구를 만들고, 공정하고 중립적인 인사들과 주자들의 대리인들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기구에서 주자들 간에 합의가 된 내용을 최고위원회에서 존중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서 총장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비박 주자 대리인들의 주장을) 최고위원회에 보고는 하겠지만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현행 당헌 당규상 경선 룰은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거쳐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최종 의결권을 최고위원회가 아닌 별도 기구에 줄 수 없다는 설명이다.

비박 대리인들은 소득 없이 끝난 회동 결과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추가 논의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정 전 대표 측 안 의원은 “첫 술에 배가 부를 순 없다”며 “앞으로 사무총장과 대리인들이 자주 만나서 별도 기구와 기구에서 논의될 사안에 대해 협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 측 권 전 의원은 “과거 동독과 서독이 베를린 장벽을 두고 대화하다 결국 장벽이 허물어졌던 것처럼 여러 차례 대화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비박 대리인들은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이명박 후보와 박근혜 후보 간 대리인들과 지도부가 경선 룰을 협의했던 전례를 들어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

당 안팎의 시선은 이번 주말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박 주자를 두루 만나겠다고 밝힌 황 대표에게로 쏠리고 있다. 황 대표는 서 총장과 달리 룰 협의기구 설치 필요성에 공감을 표했고 대선 주자들의 모임을 주선하겠다는 뜻도 밝힌 상태다. 황 대표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얘기가 나온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