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국방 2+2회담] 한미 “北 비핵화 먼저” 재촉구… 6자회담 재개 난망
입력 2012-06-15 18:54
한·미는 14일(현지시간) 제2차 외교·국방장관(2+2) 회담에서 북핵 6자회담이 개최되려면 북한이 먼저 비핵화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분명히 했다. 그러나 북한이 여전히 ‘전제조건’ 없이 6자회담을 재개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양국이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6자회담이 열릴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미는 공동성명을 통해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을 포함한 핵무기 및 현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북한이 도발행위를 자제하고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 조치를 한다면 국제사회에 다시 참여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다”고 밝혔다. 6자회담 진전을 위해선 북한이 말보다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힌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미국을 방문 중인 호르 남홍 캄보디아 외교장관을 통해 전제조건 없는 6자회담 재개를 주장했다. 지난 4∼6일 평양을 방문해 박의춘 북한 외무상 등을 만난 뒤 미국으로 간 호르 남홍 장관은 12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미국이 먼저 대북 적대정책을 중단해야 한다는 북한의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보도했다. 양측의 현격한 입장차만 확인한 셈이다.
6자회담은 2008년 12월 이후 3년6개월이 넘도록 열리지 못하고 있다. 2009년 버락 오바마 미 정부가 들어선 뒤로는 한 번도 열리지 못했다. 개최 분위기가 무르익다가도 2009년 5월 2차 핵실험,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 11월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이 번번이 도발을 감행해 무산되기 일쑤였다. 올해도 미국과 북한이 ‘2·29 합의’를 통해 6자회담 개최 기대를 높였지만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또다시 교착 국면에 빠졌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향후 6자회담 불씨가 살아날 수 있을지에 대해 한·미 모두 회의적인 분위기가 많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