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과도한 ‘테러 예방책’… 14개국 주요 외국공항에 부스 차려놓고 보안검색 논란
입력 2012-06-14 19:21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서 미국으로 가려는 승객들은 최근 낯선 경험을 하고 있다. 대서양 반대편에 있는 미국 정부요원들이 이곳에서 보안검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원 몇 명이 점검하는 수준이 아니다. 여느 심사와 같이 관세청 직원들이 대거 해외파견 근무를 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외국 공항에 따로 부스까지 설치해가며 테러 용의자 색출에 열을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프로그램의 핵심 개념은 ‘예방’에 있다.
지금까지 미국 공항에 도착해 입국심사대에서 테러 용의자들을 걸러내던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간 것이다. 테러리스트들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것을 막아 테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2009년 국제 테러단체 알카에다 요원이 속옷에 숨긴 폭탄을 암스테르담발 디트로이트행 비행기 안에서 터뜨리려 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 같은 계획은 구체화됐다.
국토안보부가 총괄하는 이 프로그램에는 섀넌 공항을 비롯해 마드리드, 도쿄 등 전 세계 14개국 주요 도시의 공항들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공항과 계약한 데 이어 요르단과 협상을 벌이는 등 중동 거점을 늘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해마다 약 1억1500만 달러(약 1340억9000만원)를 지출하고 있다.
이곳 요원들은 미국행 승객들에 대해 폭발물 검사를 비롯해 비자 이상유무, 범죄기록까지 점검한다. 무기를 소지할 수 있으며 테러 의심이 드는 승객들을 구금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받았다. 지난 2년간 약 3000만명이 탑승 공항에서 보안검색을 받았다. 이 가운데 약 500여명이 의심인물로 판명돼 쫓겨나거나 심문을 받았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가며 야심차게 추진한 이 계획이 테러 위협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다는 데 있다. NYT는 미국 노선이 있는 전 세계 약 300개 공항 모든 곳에 요원을 배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외국 공항으로의 전진 배치가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