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도 ‘경선 룰 전쟁’
입력 2012-06-14 22:04
민주통합당에서도 본격적인 대선후보 경선 룰 전쟁 서막이 올랐다. 그동안 새누리당의 싸움을 강 건너 불구경했지만 손학규 상임고문의 14일 출마선언으로 경선 룰 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된 것이다.
가장 큰 쟁점은 민주당이 새누리당에 적극적으로 주문했던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와 모바일 선거 도입 여부다. 우선 완전국민경선제는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는 게 대세다. 하지만 일부 대선주자들은 “타당 지지자가 일부러 약한 후보를 뽑는 역선택의 부작용이 매우 크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따라서 100% 국민경선제를 실시할지, 아니면 일정 비율을 줄일지를 놓고 대선주자 간 지루한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모바일 선거 도입 문제는 새 쟁점이다. 6·9 당 대표 경선에서 이중투표 등 부정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방법이 민심을 반영하기는커녕 오히려 당심(黨心)까지 왜곡시킬 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당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은 라디오에 나와 “(6·9 당 대표 경선은) 처음부터 특정 집단에 특혜를 주는 등 룰 자체가 고무줄이었다”면서 “우리는 이런 (모바일 투표의) 부정적인 요소를 예상해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당권·대권 분리 당규 규정에 대한 견해도 엇갈린다. 현행 규정은 대통령 선거 1년 전 해당 대선주자가 지도부에서 사퇴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이해찬 당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 등은 이 규정을 고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기득권을 포기하고 지난해 12월 지도부에서 물러난 손학규 정세균 정동영 상임고문 등은 반대하는 입장이다.
민주당을 넘어 정치권 전체가 관심을 갖고 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는 주요 대선주자들과 당 지도부 사이에 일정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문재인 손학규 상임고문, 김두관 경남지사 등은 당내 후보를 먼저 뽑은 뒤 안 원장과 단일화하는 ‘투샷’ 방식을 원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3일 지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민주당 자강(自强)론이 우선이다. 당 대선후보가 먼저 결정된 뒤 안 원장과 최종적으로 정책 연대를 했으면 좋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당 핵심 인사는 언론과의 접촉에서 “안 원장이 당에 들어와 경선을 치르면 민주당 지지표가 분산될 것이 뻔하다는 게 당의 전반적 정서”라고 전했다.
한편 이근식 전 행정자치부 장관 등 영남 출신 전직 국회의원 및 장·차관급 인사 16명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지사의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은 “언론과 진보적 지식인 사회에서 주목받는 김 지사가 경선에 뛰어들면 2002년 ‘노풍(盧風·노무현 바람)’에 버금가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서민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스토리가 풍부한 김 지사의 경선 참여만이 대선 승리의 길”이라고 덧붙였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