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농업용수 확보” 예비비 65억 긴급투입
입력 2012-06-14 18:31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가뭄대책 마련에 본격 나섰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14일 16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여한 영상회의를 열고, “관정을 개발해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소방인력과 장비도 최대한 투입해 노약자들이 생활용수 부족을 겪지 않도록 적극 대처해 달라”고 주문했다.
행안부는 저수지 931곳 중 73곳이 고갈되는 등 극심한 가뭄 피해를 입은 충남에 5억원을, 전·남북에는 각각 1억원 상당의 특별교부세를 지원하는 방안을 다음주 초 확정할 계획이다.
각 시·도는 한국농어촌공사, 시·군·구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대책상황실을 꾸리고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가뭄지역에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민·관·군이 보유한 양수기 등 가용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가뭄 피해가 가장 큰 충남도는 시·군·구의 자체 예비비 65억원을 긴급 배정, 관정 339곳을 개발하고 주요 하천에 가물막이 160곳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농업용수 마련에 나섰다. 도는 밭의 토양 수분함량이 40% 이하로 떨어질 경우 비상급수를 추진할 계획이다. 청양군은 예비비 7억원을 투입해 관정개발과 양수장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천안시 서북구는 1억2000만원을 들여 용수원 개발과 소류지 준설을 실시중이다.
전북도는 3000여곳의 관정과 양수기 3200여대를 동원해 시들음 현상이 발생한 고추밭, 마늘밭, 깨밭 56㏊에서 해갈작업에 나섰다.
경기도는 작황 부진으로 농민들의 소득이 줄어들 것에 대비해 작황부진이 심각한 감자·마늘 등을 조기 수확하고, 대체 작물 파종을 검토 중이다.
황일송 기자, 전국종합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