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오산 통합 사실상 무산… 수원 “계속 추진”-화성 “재론 말아야”

입력 2012-06-12 18:27

정부가 추진한 경기 수원·화성·오산 등 3개시의 통합이 사실상 무산됐다. 하지만 통합 추진에 적극적이었던 수원시는 주민투표 등을 통해 통합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12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는 지난 8일 제16차 본회의를 열어 수원·화성·오산 등 3개시 통합안을 심의했다. 통합안을 거수표결에 부쳤으나 위원장을 제외한 참석위원 21명 중 찬성인원이 절반을 넘지 못해 통합안이 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개편위는 지난달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수원과 오산 주민들은 통합에 대해 60% 이상 찬성입장을 보인 반면 화성은 찬성이 40% 중반에 머물러 통합안 통과 전망을 어둡게 했다. 개편위는 이번 결과를 행정안전부와 청와대에 보고하고, 원구성이 끝나는 대로 국회에도 보고할 계획이다.

현재 3개시는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통합의 타당성이 충분한데도 결과가 이렇게 나와 무척 아쉽고 유감스럽다”면서 “정부 차원의 통합은 어렵게 됐지만 주민투표를 통해 자체적인 통합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반면 면적이 넓고 굳이 통합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통합에 반대했던 화성시는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중립입장을 밝혀 왔던 오산시는 공식 논평을 유보했다.

앞서 이들 3개시 시장은 지난해 11월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한 공동연구용역 추진에 합의, 한국행정학회를 통해 3월부터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결과는 8월쯤 나온다

3개시에 대한 통합논의는 2000년부터 본격 시작됐다. 당시 수원시와 오산시, 화성군이 통합해 광역시로의 승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경기도의 반대와 화성군의 시 승격이 맞물리면서 무산됐다. 또 2009년에도 화성·오산 시의회의 반대로 통합은 이뤄지지 않았다.

통합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이들 3개시가 역사적으로 한 뿌리이며, 동일생활권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이들 지역은 757년(경덕왕 16년) 신라 수성군 때부터 행정구역을 같이했다. 1949년 수원시가, 1989년 오산시가 분리됐지만 여전히 동일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