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방송인 김미화씨도 사찰 수사

입력 2012-06-11 21:56

방송인 김미화(48)씨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불법 사찰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씨 외에 또 다른 유명인사들이 사찰 피해자로 확인될 경우 정치적 파장이 예상된다.

김씨는 11일 자신의 트위터에 ‘수사팀으로부터 사찰 문건 중 2009년 MBC 라디오 김미화 교체 관련 동향 문건이 발견됐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할 말은 많지만, 지금 우리는 정의가 상실된 사회를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검찰은 지난해 4월 MBC 라디오 ‘세계는 그리고 지금은’ 프로그램에서 중도하차한 뒤 “강제 사퇴 압력을 받았다”고 주장한 김씨를 상대로 전화 조사를 벌였다. 검찰 관계자는 “사찰 대상으로 보이는 사람에게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어떤 액션을 취했고, 본인이 이를 (사찰로) 느꼈는지를 확인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의혹을 재수사해 온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13일 수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3월 16일 재수사에 착수한 지 약 3개월 만이다.

검찰은 재수사를 통해 이영호(48)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최종석(42) 전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 진경락(45)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구속기소했다. 검찰은 불법사찰에 관여한 혐의로 박영준(52·구속) 전 지식경제부 차관도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검찰은 그러나 새롭게 기소되는 사람은 없다고 밝혀 불법사찰의 몸통은 이 전 비서관과 박 전 차관으로 결론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정길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과 장석명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 등은 무혐의 처리될 것으로 알려졌다.

임 전 실장은 불법사찰 관련자들에게 돈으로 입막음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민정수석실은 증거인멸의 ‘윗선’으로 지목돼 왔다. 검찰은 최근에야 장 비서관과 김 전 비서관을 불러 짧은 시간 조사했고, 전직 대통령실장 2명은 서면조사에 그쳤다. 이들을 조사했다는 모양새만 갖추고 면죄부를 주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