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첫 최고위원회의… “정권교체” 외치지만 이해찬-김한길 여전히 기싸움
입력 2012-06-11 19:05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와 김한길 최고위원이 11일 전당대회 이후 국회에서 처음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놓고 기싸움을 벌였다. 함께 ‘정권교체’ 구호를 외쳤지만 대표 경선 결과를 둘러싸고 정반대의 논리를 내세우며 맞섰다. 전대 후유증으로 앞으로 당 운영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먼저 이 대표가 “아주 어려운 선거였지만 많은 민심을 반영한 선거였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우리가 정권교체를 하기까지 앞으로 민심을 잘 받들어서 모두가 힘을 합쳐서 해나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김 최고위원은 이 대표에게서 마이크를 이어받자마자 “6·9 전당대회 결과는 당심과 민심을 외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대의원들이 저를 1등으로 뽑아줬고, 권리당원의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에서도 모두 저를 1등으로 뽑아줬다. 대의원과 당원에게 가장 많은 표를 받고도 대표가 되지 못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어 “새 지도부는 이를 유념해서 당심과 민심을 수용하는 데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이 대표에게 “독주하지 말라”는 경고를 한 셈이다. 김 최고위원이 말을 끝내자 회의장은 일순간 긴장감에 휩싸였다.
이 대표는 김 최고위원 발언을 못 들은 척하며 새누리당에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경제대책을 위한 ‘여·야·정 경제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하반기로 갈수록 굉장히 어려워질 것 같다”면서 “가을 국회에서 추경을 편성해서라도 내수 진작을 위한 좋은 경제정책을 서로 머리를 맞대고 만들어낼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구체적 대책으로 일자리 창출과 고물가 방지 정책, 0∼2세 영아 무상보육 등을 제시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책 프레임’의 기선을 잡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민주당은 이날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을 발족시키고 당을 대선 체제로 전환키로 했다. 관련 당헌·당규 개정과 대선후보 경선 방법, 일정, 기획단 구성 등을 곧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신경민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대선후보 확정은 원래 선거일 180일(6월 22일) 전에 해야 하나 사실상 힘들다”며 “런던올림픽이 끝나는 8월 중순이나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새누리당과의 원 구성 협상에서 양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당내에서도) 빨리 하라는 요구가 있으나 원칙을 허물 수는 없다. 특히 법사위원장은 양보 못한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회의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를 예방했다. 이 여사는 이 대표와 김 최고위원을 ‘화해’시키려는 듯 “두 분이 다정하게 같이 있으니까 기쁜데요”라고 했다.
이 여사는 나머지 최고위원들에게 “새로 되셨으니 민주당도 모든 걸 쇄신시키고 또 정권교체라는 중요한 과제를 반드시 이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