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주자들이 만나 경선 룰 매듭 풀어라

입력 2012-06-11 18:38

대선후보 경선 룰을 둘러싼 새누리당의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요구해온 김문수 경기지사와 이재오 의원, 정몽준 전 대표 등 비박(非朴) 대선주자 3인은 친박(親朴) 측에서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자 경선불참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나섰다. 새누리당이 어제 경선관리위원회 인선을 확정한 데 대해서도 비박계는 “룰이 확정되지도 않았는데 경선관리위를 구성한 것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위한 조치”라고 발끈했다. 반면 친박계는 “8월 21일인 당헌·당규상의 대선후보 선출일을 맞추려면 경선관리위 출범을 더 늦출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비박계는 경선을 일반 유권자에게 완전 개방하는 것이 시대적 추세이며, 본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리가 있다. 하지만 정당정치의 기본인 당원을 무시하는 제도이며, 상대 정당 당원들의 역선택과 부정경선 시비 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친박계의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양측은 한발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이재오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비박) 세 후보가 경선에 불참하면 경선 후유증을 낳고, 본선에서 큰 타격이 온다는 것은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경선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며, 그러면 박 전 위원장에게도 좋을 게 없다는 의미다. 김문수 지사 측에서는 분당론까지 언급했다. 친박계 일각에서는 비박계 행태가 도를 넘었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행 새누리당 경선 룰은 대의원 20%, 당원 30%, 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의 표를 합산하는 것이다. 국민 의사를 50% 반영토록 돼 있어 양 진영이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여지가 없지 않다. 경선 룰 갈등은 상대를 겁박하거나 무시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박 전 위원장과 비박 주자 3인은 자기주장이 무조건 관철돼야 한다는 아집을 버리고, 한자리에 모여 절충점을 모색해야 한다. 지난 총선에서 새누리당에 표를 준 유권자들이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