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연, 대광고 사태 개입 이후 학원선교 크게 위축”… 교목 4인이 밝힌 종자연과 미션스쿨 교육 현실

입력 2012-06-10 19:24

불교단체인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이하 종자연·공동대표 박광서)의 학생인권문제 개입이 기독교계 사학의 종교적 자율운영권을 심대하게 침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션스쿨에서 시무하는 교목들은 차제에 종자연의 반(反)기독교 활동에 제동이 걸리지 않으면 향후 미션스쿨의 존립마저 어려워질 것이라며 범교계 차원의 강력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지난 9일 서울 대광고에서 만난 김용관(56·서울 오산고) 원광호(58·대성고) 우수호(43·대광고) 김종화(42·명지고) 교목은 “불교단체인 종자연이 대광고 사태를 지렛대삼아 학내 종교자유 문제를 이슈화 시킨 뒤 기독교 사학의 채플과 종교교육 시간을 제한하려는 서울시교육청의 종교교육 지침이 내려왔으며, 학내 신앙교육이 상당히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향후 학내 신앙교육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국가인권위원회의 종자연 연구용역을 반드시 취소시켜야 한다”면서 “사회적으로 학생인권 문제뿐만 아니라 학생을 강제 배정시키는 평준화 정책의 문제점도 반드시 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목들은 “종자연이 제기한 학내 종교자유 침해사례와 서울시교육청의 ‘종교관련 장학지도 계획’이 놀랍도록 일치했다”면서 “종자연이 막강한 인적·물적·법적 기반을 바탕으로 서울시교육청을 압박해 미션스쿨을 관리·감독 하도록 몰아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목들은 “대광고 사태 이후 교육청은 한 장소에서 모여 특정 종교의식 실시를 금지하고 있으며 특정 종교의 의식 활동을 교과 내용에 포함한 지도를 금지하고 있다”면서 “종립학교와 건학이념에 맞는 교직원 임용조차 불가능하게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작 학생들은 대학입시 때문에 학내 종교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지 못하고 있다”면서 “종자연과 같은 외부단체가 작은 문제 하나를 발견해 문제를 선동하고 침소봉대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교목들은 “과거의 사례로 봤을 때 종자연은 인권위 연구용역을 지렛대 삼아 대광고 사태 이후 형성된 종교교육 통제 분위기를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