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침묵 일관… 친박, 득실 따지며 절충 시사

입력 2012-06-10 18:51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10일 비박 진영의 대선후보 경선 거부 경고에 반응하지 않았다. 친박계 인사들도 일단 침묵했다. 대응해 봐야 긁어 부스럼이기 때문이다.

당내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든, 현행 규정대로 하든, 박 전 위원장이 후보를 거머쥐는 데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게 대세다. 그럼에도 박 전 위원장은 현재로선 ‘선수에 따라 룰을 바꿀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할 것 같다. 현행 룰이 2007년 ‘이명박 대(對) 박근혜 경선’에서 흥행 성공이었다는 명분도 내세운다. 현재는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다.

하지만 친박 진영 내에도 고민들이 있다. 우선 ‘약자에 대한 포용을 보이지 못한다’ ‘1등의 오만이다’는 비판이다. 설사 오픈프라이머리를 받아들이더라도 걱정은 또 남는다. 동원선거 부작용이다. 지역구별로 투표 결과가 공개되기 때문에 지역 당협위원장들은 당연히 충성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 부정 시비도 일어날 수 있다. 그 부담은 고스란히 ‘1등 박근혜’가 짊어지게 된다. 한 친박계 의원은 “상황별 부작용을 검토해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황우여 대표도 그런 고민의 일단을 내보였다. 황 대표는 9일 의원연찬회 마무리 발언에서 “현행 당헌·당규에 따라 대선후보 경선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선 룰에 결함이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선 룰 협상을 위한 별도의 경선준비위원회를 꾸리지 않고, 11일 경선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킨 뒤 관련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뜻이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경선관리위가 출범하더라도 후보등록까지 다소 시간이 있다. 등록시점은 대략 7월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절충점 모색을 시사했다. 정치적 타결 방안도 찾아보겠다는 뜻으로 들린다.

박 전 위원장이 후보 등록 이후 당 화합을 위해 오픈프라이머리를 전격 받아들일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또 일반국민 선거인단 대폭 확충, 전국 순회경선 등의 절충안도 제기되고 있지만 어떤 경우든 박 전 위원장의 의중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김명호 기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