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朴 3인, 잇단 대선공약… 親-反재벌 대립
입력 2012-06-10 18:43
김문수 “일자리 창출 가로막는 기업규제 철폐”
정몽준 “대기업의 지배적 지위남용 행위 차단”
이재오 “1000만 약자 위한 공동체 시장경제 추진”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非朴·비박근혜) 대선주자들은 10일 일자리 창출과 서민경제를 위한 대선공약을 잇따라 발표했다. 그러나 김 지사는 기업규제 철폐를 주장한 반면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은 재벌개혁 쪽에 무게를 뒀다.
김 지사는 측근 차명진 전 의원이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일자리 대통령이 되겠다”며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기업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일자리야말로 최고의 복지이고 국민 삶의 기초”라며 “대기업에 대한 규제를 과감히 해제해 대기업의 국내투자를 현재의 2배 수준으로 늘리고, 좋은 일자리 10만개를 신규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 규제를 완화하고 경제자유구역에서의 국내기업 ‘역차별’을 폐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전 대표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제 분야 정책을 발표했다. 그는 “세계경제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단기적으로 취약계층과 서민생활 안정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며 “정부는 최소한 10조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또 “나눔의 성장만이 서민경제를 억누르는 가계부채 문제를 풀 수 있다”며 “이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의 포괄적 행정조사권을 강화해 대기업의 지배적 지위남용과 불공정거래 행위를 막고 내부거래 투명성 확대를 통해 대기업의 내부거래에 대한 견제장치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1000만 시장 약자를 위한 공동체 시장경제’를 위한 10대 공약을 내놨다. 이 의원은 “공동체 시장경제는 시장의 효율성에 상생과 배려라는 공동체 정신을 결합한 자율, 공정, 상생의 경제”라며 “환상형 순환출자 금지와 중소기업적합업종을 서비스업까지 확대하고 비정규직에 대한 4대 보험지원을 전면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되면 6개월 안에 대통령실 산하에 공동체 시장경제 추진위원회를 만들어 10대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