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사이버사령부 전력 강화… 사령관 계급 소장으로, 인력도 倍 증원 추진

입력 2012-06-10 18:18

국방부가 사이버전 전투능력 강화를 위해 국군사이버사령관의 계급을 준장에서 소장으로 격상하기로 했다. 군 소식통은 10일 “최근 새로운 안보위협으로 급부상한 사이버전과 사이버 테러에 대응하도록 국군사이버사령부 조직을 보강하는 계획을 수립했다”면서 “사이버사령관의 계급을 준장에서 소장으로 격상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직할 부대인 사이버사령부는 전·평시 사이버전 수행과 기획, 관계기관과의 정보공유 및 협조체계 구축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사령관 계급 격상과 함께 조직을 확대하고 인력도 현재 500여명에서 최대 2배 정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군이 사이버사령부 대폭 보강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최근 군 장교를 대상으로 한 북한의 해킹 시도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해킹 시도는 이틀에 한번 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4월 말에서 5월 초까지 북한 소행으로 보이는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 신호교란도 일어났다.

북한은 현재 사이버전 전문 인력을 3000여명 확보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 반면 우리 군은 정보보호 전문장교 육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사이버전 대응인력 수급 체계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유엔 산하 기관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북한의 GPS 신호교란을 강력히 경고했다고 교도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통신은 하마둔 투레 ITU 사무총장이 4월부터 5월에 걸쳐 한국에서 발생한 GPS 신호교란과 관련해 “이는 유해한 혼신을 금지한 ITU 헌장에 어긋나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협약으로 보장된 항공기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위반 행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이동훈 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