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해찬의 민주당, 분열의 정치 경계해야

입력 2012-06-10 18:27

민주통합당 대표에 이해찬 후보가 선출됐다. 전국 순회 대의원 투표에서 밀리다가 당원 및 모바일 투표를 통해 역전승을 거뒀다. 이 대표는 승리했지만 경선 내내 자신의 발목을 잡았던 ‘이해찬-박지원 역할 분담론’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충청권 출신인 이 대표가 당권을 맡고, 원내 사령탑은 호남 출신 박 원내대표가 맡아 대선 승리를 이끌어낸다는 이 구상은 밀실 담합, 계파별 권력 나눠먹기 식 구태정치라는 등 따가운 비난에 직면했다. 이 대표의 취임으로 역할 분담론은 추인을 받은 격이 됐지만, 민주 절차의 준수나 정정당당한 정치 등을 요구했던 고언들을 수용해 당내 대권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고 당의 화합을 이끌어야 한다.

여당과의 관계에서 강한 목소리를 내온 이 대표가 극심한 분열의 정치를 재연하지 않을까 하는 점은 우려스럽다. 대선을 목전에 두고 국민 앞에 민생 정책이나 미래 비전을 놓고 경쟁하는 게 아니라 상대 당 대선 후보를 마구잡이로 비난하는 네거티브 공세가 난무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박 원내대표가 이미 대선 전초 전략에 따라 새누리당 대선 유력 후보인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원내 문제와는 별 관계도 없이 공격하는 시리즈를 선보였다. 여기에 이 대표까지 가세하게 되면 여야 간 협력이 실종되고 대립상만 빚을 공산이 크다. 정당이 정권 창출을 목표로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이런 행태는 정치 불신을 확산시켜 여야 공멸은 물론 국민 전체를 패자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북한 인권법은 내정 간섭”이라고 발언해 종북 논란을 불렀다. 자당 소속 임수경 의원의 “탈북자는 별절자” 발언을 비호하고 이를 비판하는 새누리당을 매카시즘으로 몰아가 국민들의 눈높이와는 다른 상황인식을 드러냈다. 이런 방식이 당내 지지표 결집을 부를 수는 있었겠지만 대선 본선에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국민을 바라보지 않고 소수 전위만 생각하다가는 국민의 지지를 잃어버리고 또다시 폐족의 위기로 몰릴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