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이해득실 따져보니… 현행대로땐, 朴 압도적인 승리-완전경선땐, 非朴 역전 바람몰이 포석
입력 2012-06-08 18:38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 잠룡들이 오픈프라이머리에 목을 매고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현행 룰대로 경선을 치를 경우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날 게 뻔하기 때문이다.
현행 경선 룰은 국민참여 경선인단 투표 80%와 여론조사 20%를 반영해 후보를 선출하도록 돼 있다. 국민참여 경선인단은 전당대회 대의원, 일반당원, 일반국민을 2:3:3의 비율로 구성하도록 돼 있다. 2007년 이명박, 박근혜 두 후보가 두 달가량 밀고 당기는 진통 끝에 마련한 룰이다.
하지만 비박 주자들은 당협위원장의 70%가량이 친박 성향인 상황에서 이 룰로 경선을 치르는 게 과연 공정하냐고 문제제기하고 있다. 당협위원장은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할 대의원 및 선거인단 구성을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친이명박계가 당권을 장악했으나 4·11 총선을 거치면서 비박 대 친박 비율이 3대7로 역전됐다는 평가다.
비박 측으로선 친박에 치우친 당심(黨心) 반영 비율을 어떻게 해서든 줄여야 한다. 100% 일반 유권자의 투표로 선출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도 여기에 있다.
물론 이렇게 바뀐다 해도 비박 잠룡들에게 승산이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이들의 지지율은 다 합쳐도 박 전 위원장과는 게임이 안 될 정도로 격차가 크다. 하지만 경선과정에서 극적인 역전 드라마를 만들겠다는 한 가닥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있다.
비박 잠룡들은 2002년 ‘대세론’의 주인공이었던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민주당 노무현 후보에게 패배한 점을 거듭 상기시키고 있다. 당시 노 후보가 드라마와 같은 경선과 단일화를 만들어 대선에 승리했듯이 박 전 위원장과 비박 후보들 간에 경쟁구도를 만들어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켜야 새누리당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친박 측은 현행 룰이 5년 전 친이계가 만들었고 박 전 위원장이 불리했는데도 수용한 점을 들어 변경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