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끝없는 중국의 영토 야욕과 역사 왜곡

입력 2012-06-07 18:46

영토적 야욕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국의 역사 왜곡이 갈수록 태산이다. 이번엔 만리장성을 고무줄처럼 늘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 만리장성의 동쪽 끝은 베이징에서 멀지 않은 허베이성 산해관(山海關)이라는 게 정설이었다. 그러나 중국은 2009년 랴오닝성의 고구려 성인 박작성을 만리장성에 포함시키더니 이젠 더 나아가 고구려와 발해의 근거지였던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에서 발견된 성의 유적들도 만리장성에 포함시켰다. 억지도 이런 억지가 없다.

진·한시대부터 여러 왕조를 거쳐 축조된 만리장성은 원래 한족(漢族)이 흉노·몽고·거란·여진 등 이른바 북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는 중국 사서에도 숱하게 나오는, 움직일 수 없는 사실(史實)이다. 그런데 그것이 북방민족의 주 활동무대이자 고구려 발해의 근거지이기도 했던 곳에서 어떻게 발견될 수 있다는 말인가. 한족 입장에서 적의 심장부에 적을 막기 위한 성을 쌓았다는 게 말이 되는가.

중국이 이처럼 ‘현재의 국경을 기준으로 자국 영토 안에 있는 성은 모두 만리장성’이라는 황당한 주장을 펴면서 역사를 왜곡하는 이유는 딴 데 있지 않다. 현실의 영토적 야욕 때문이다. 북한 급변사태 등에 따른 동북아 정치지형 변화와 차후에 발생할지도 모를 영토분쟁에 미리 대비하고 기존의 실질적 지배력을 공고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다.

이를 두고 한국의 한 역사학자는 “중국의 역사학이 사실을 확인하는 학문이 아니라 현재의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한 이런 주장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주변 소수민족 역사의 블랙홀’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역사공정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하고 있는 ‘대국의 소아병적 역사 왜곡’을 중단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자성만 기대하고 있을 수는 없다. 우리 정부와 학계의 철저한 대응과 시정 노력이 필요하다. 북한도 대남 분탕질에만 열을 올릴 게 아니라 중국의 역사 왜곡에 적극 맞대응해야 한다. 중국 원조에 기대고 있는 형편을 모르지 않지만 말끝마다 뇌까리는 ‘민족’ 타령이 부끄럽지 않은가.